광기계적 망막 손상: 두 판 사이의 차이

2,379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경과)
잔글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9번째 줄:
== 사례 ==
== 사례 ==
세계적으로 매년 여러 차례 보고되고 있다<ref>Barkana Y et al. Laser eye injuries. ''Surv Ophthalmol''. 2000 May-Jun;44(6):459-78. [https://pubmed.ncbi.nlm.nih.gov/10906379/ 연결]</ref><ref>Thach AB et al. Accidental Nd:YAG laser injuries to the macula. ''AJO''. 1995 Jun;119(6):767-73. [https://pubmed.ncbi.nlm.nih.gov/7785692/ 연결]</ref>. 군사 연구소<ref>Harris MD et al. Laser eye injuries in military occupations. ''Aviat Space Environ Med''. 2003 Sep;74(9):947-52. [https://pubmed.ncbi.nlm.nih.gov/14503672/ 연결]</ref> 및 실험실 등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나, Nd:YAG 레이저낭 절개술에서 잘못된 레이저 세팅을 한 경우<ref>Liyanage SE et al. Macular burns resulting from the accidental use of SLT mode during a laser capsulotomy. ''BJO''. 2014 Jan;98(1):141-2. [https://pubmed.ncbi.nlm.nih.gov/24133028/ 연결]</ref>, 미용 레이저 시술<ref>Chen SN et al. A case of accidental retinal injury by cosmetic laser. ''Eye (Lond)''. 2014 Jul;28(7):906-7. [https://pubmed.ncbi.nlm.nih.gov/24763243/ 연결]</ref> 및 레이저 제모 시술 과정에서 보호 장비 미착용으로 인한 사고로 망막 또는 황반부의 손상을 받은 경우<ref>Kontadakis GA et al. Macular injury with rapid onset of CNV from laser epilation. ''JAMA Ophthalmol''. 2015 Apr;133(4):488-90. [https://pubmed.ncbi.nlm.nih.gov/25634443/ 연결]</ref>도 보고된 바 있다.
세계적으로 매년 여러 차례 보고되고 있다<ref>Barkana Y et al. Laser eye injuries. ''Surv Ophthalmol''. 2000 May-Jun;44(6):459-78. [https://pubmed.ncbi.nlm.nih.gov/10906379/ 연결]</ref><ref>Thach AB et al. Accidental Nd:YAG laser injuries to the macula. ''AJO''. 1995 Jun;119(6):767-73. [https://pubmed.ncbi.nlm.nih.gov/7785692/ 연결]</ref>. 군사 연구소<ref>Harris MD et al. Laser eye injuries in military occupations. ''Aviat Space Environ Med''. 2003 Sep;74(9):947-52. [https://pubmed.ncbi.nlm.nih.gov/14503672/ 연결]</ref> 및 실험실 등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나, Nd:YAG 레이저낭 절개술에서 잘못된 레이저 세팅을 한 경우<ref>Liyanage SE et al. Macular burns resulting from the accidental use of SLT mode during a laser capsulotomy. ''BJO''. 2014 Jan;98(1):141-2. [https://pubmed.ncbi.nlm.nih.gov/24133028/ 연결]</ref>, 미용 레이저 시술<ref>Chen SN et al. A case of accidental retinal injury by cosmetic laser. ''Eye (Lond)''. 2014 Jul;28(7):906-7. [https://pubmed.ncbi.nlm.nih.gov/24763243/ 연결]</ref> 및 레이저 제모 시술 과정에서 보호 장비 미착용으로 인한 사고로 망막 또는 황반부의 손상을 받은 경우<ref>Kontadakis GA et al. Macular injury with rapid onset of CNV from laser epilation. ''JAMA Ophthalmol''. 2015 Apr;133(4):488-90. [https://pubmed.ncbi.nlm.nih.gov/25634443/ 연결]</ref>도 보고된 바 있다.
== 진단 ==
환자의 상처가 실제 레이저 사고로 인한 것인지 감별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실제 레이저 사고가 발생한 경우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어떤 광원에 의한 상처 인지 문진을 통해 알 수 있는 경우가 많다.
* 전형적인 맥락망막 손상이 있다.
* 손상 후 전형적인 맥락망막 재구조화가 일어난다.
* 레이저 노출과 심각한 시각적 증상 발생 사이의 시간적 선후 관계가 명확하다.
* 망막 영상 검사로 확인할 수 있는 손상 정도와 시각적 증상의 중증도가 상응한다.
레이저 손상 및 노출은 대부분 통증을 수반하지 않는다. 레이저 사고 후 눈을 문지르면 각막 찰과상이 발생하여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나,이는 레이저 사고로 인한 직접적 결과는 아니다. 레이저로 인해 망막이 손상됐다고 해서, 만성 두통이나 머리, 목, 턱 등 여타 신체 부위에서 불편 증상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레이저 손상 정도가 심할수록 진단은 용01하다. 망막손 상이 미미해 애매한 경우, 보통 시력예후는 매우 좋다. 환 자는 레이저로 인해 망막손상을 받았다고 주장하지만 객 관적인 검사 결과에서는 문제가 없을 경우, 환자 망막 상 태, 안과적/전신적 검사 결고ᅡ, 임상양상, 과거 병력을 종합 적으로 면밀히 검토한 후 진단을 내려야 한다, 손상 여부가 애매한 상황에서 변호사나 환자들이 손상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빨리 결론을 내달라고 압박한다고 해서,섣불리 진단을 내려서는 안 된다.20,23 레이저로 인한 망막 손상은 만성적인 통증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레이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심각한 시각 손상은 심각한 맥락망막 이상 소견과 일치해야 한다


== 예방 ==
== 예방 ==
눈 보호구를 반드 시 착용하고, 철저한 안전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수술용 Q- switched 레이저 시스템과 펨토초 레이저 시스템 중에는 이런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체적인 안전 장치가 내장 돼 있는 경우도 있다.
눈 보호구를 반드 시 착용하고, 철저한 안전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수술용 Q- switched 레이저 시스템과 펨토초 레이저 시스템 중에는 이런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체적인 안전 장치가 내장 돼 있는 경우도 있다.
== 경과 ==
== 경과 ==
손상 위치와 맥락망막 파괴 정도, 출혈에 따라 초기 시각 상실 정도가 달라진다. 출혈은 유리체막하, 망막하, RPE하 공간으로 퍼질 수 있다. 맥락망막에 흉터가 생기고 변형되기도 한다. 시력은 시간이 감에 따라 호전될 수 있으며, 손상이 중심 오목을 침범하지 않고 심각하지 않으면 예후는 좋다. 손상 후 황반 구멍<ref>Cho A et al. FS laser-induced MH followed by SD-OCT. ''Clin Exp Ophthalmol''. 2013 Nov;41(8):812-5. [https://pubmed.ncbi.nlm.nih.gov/23448512/ 연결]</ref><ref>Ciulla TA et al. Surgical treatment of a MH secondary to accidental laser burn. ''Arch Ophthalmol''. 1997 Jul;115(7):929-30. [https://pubmed.ncbi.nlm.nih.gov/9230842/ 연결]</ref>이나 이차적인 맥락막 신생혈관<ref>Ying HS et al. Accidental Nd:YAG laser-induced CNV. ''Lasers Surg Med''. 2008 Apr;40(4):240-2. [https://pubmed.ncbi.nlm.nih.gov/18412221/ 연결]</ref>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손상 위치와 맥락망막 파괴 정도, 출혈에 따라 초기 시각 상실 정도가 달라진다. 출혈은 유리체막하, 망막하, RPE하 공간으로 퍼질 수 있다. 맥락망막에 흉터가 생기고 변형되기도 한다. 시력은 시간이 감에 따라 호전될 수 있으며, 손상이 중심 오목을 침범하지 않고 심각하지 않으면 예후는 좋다. 손상 후 황반 구멍<ref>Cho A et al. FS laser-induced MH followed by SD-OCT. ''Clin Exp Ophthalmol''. 2013 Nov;41(8):812-5. [https://pubmed.ncbi.nlm.nih.gov/23448512/ 연결]</ref><ref>Ciulla TA et al. Surgical treatment of a MH secondary to accidental laser burn. ''Arch Ophthalmol''. 1997 Jul;115(7):929-30. [https://pubmed.ncbi.nlm.nih.gov/9230842/ 연결]</ref>이나 이차적인 맥락막 신생혈관 (CNV)<ref>Ying HS et al. Accidental Nd:YAG laser-induced CNV. ''Lasers Surg Med''. 2008 Apr;40(4):240-2. [https://pubmed.ncbi.nlm.nih.gov/18412221/ 연결]</ref>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 치료 ==
OCT와 FA는 레이저 손상의 평가, 관리 및 기록에 유용하게 쓰인다. 레이저 손상을 줄이기 위한 항염증제나 신경 보호 약제들이 실험실 수준에서 연구되기도 했으나,17,18 임상 연구에서 이러한 약제들의 효과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황반 구멍과 CNV는 자연적으로 사라지기도 하나, 수술이나 anti-VEGF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