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상 내측 맥락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29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6일 (월)
잔글
13번째 줄: 13번째 줄:
* FA : 급성기의 병변들은 초기에 과형광을 나타내며 점점 진해지다가 후기에 누출을 보인다.
* FA : 급성기의 병변들은 초기에 과형광을 나타내며 점점 진해지다가 후기에 누출을 보인다.
* ICGA : 병변과 일치하는 저형광과 맥락막 혈관 주변의 국소적인 과형광이 동시에 관찰되는데, 병변과 일치하는 저형광은 맥락막 관류 저하를 나타내며, 국소적인 과형광은 맥락막 혈관염을 나타낸다.
* ICGA : 병변과 일치하는 저형광과 맥락막 혈관 주변의 국소적인 과형광이 동시에 관찰되는데, 병변과 일치하는 저형광은 맥락막 관류 저하를 나타내며, 국소적인 과형광은 맥락막 혈관염을 나타낸다.
* OCT : 망막 색소상피층의 융기 소견이 관찰되는 반면, 맥락막 및 브루크막은 보존된다<ref>Channa R et al. Characterization of macular lesions in PIC with SD OCT. ''J Ophthalmic Inflamm Infect''. 2012 Sep;2(3):113-20. [https://pubmed.ncbi.nlm.nih.gov/22210152/ 연결]</ref>.
* 시야 검사 : 암정의 확대가 가장 흔하다.
* 시야 검사 : 암정의 확대가 가장 흔하다.
* 망막전위도 : 정상이다.
* ERG : 정상이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심한 염증 반응이 동반되지는 않지만, 면역억제 치료에 잘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맥락막 혈관 신생]]은 스테로이드나 항혈관내피 성장인자 주입술을 고려한다.
심한 염증 반응이 동반되지는 않지만, 면역억제 치료에 잘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맥락막 혈관 신생]]은 스테로이드나 항혈관내피 성장인자 주입술을 고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