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부작용 및 합병증)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부작용 및 합병증 == | == 부작용 및 합병증 == | ||
가장 심각한 부작용은 여포성 결막염을 유발하는 것이며, 접촉성 피부염을 동반하기도 한다. 1% apraclonidine을 장기간 점안하였을 때 48%에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부작용은 brimonidine을 사용했을 때도 역시 흔히 나타난다. 또 다른 부작용으로는 눈꺼풀조임, 산동, 결막 창백 등이 나타날 수 있는 데 이는 뮬러근, 홍채 조임근, 동맥 평활근의 α1 수용체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 가장 심각한 부작용은 여포성 결막염을 유발하는 것이며, 접촉성 피부염을 동반하기도 한다. 1% apraclonidine을 장기간 점안하였을 때 48%에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부작용은 brimonidine을 사용했을 때도 역시 흔히 나타난다. 또 다른 부작용으로는 눈꺼풀조임, 산동, 결막 창백 등이 나타날 수 있는 데 이는 뮬러근, 홍채 조임근, 동맥 평활근의 α1 수용체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이다<ref>Jampel HD et al. Apraclonidine. A 1w dose-response study. ''Arch Ophthalmol''. 1988 Aug;106(8):1069-73. [https://pubmed.ncbi.nlm.nih.gov/3041944/ 연결]</ref>. | ||
아프라클로니딘은 | 아프라클로니딘은 [[클로니딘]]이나 [[브리모니딘]]과는 대조적으로 지질 친화력이 낮아 중추 신경계의 부작용이 적게 나타나며, [[베타 차단제]]나 [[클로니딘]] 투여시 나타나는 심혈관계 부작용도 드물다. | ||
{{참고}} | {{참고}} | ||
{{녹내장_안약}} | {{녹내장_안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