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모니딘: 두 판 사이의 차이

204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8월 30일 (화)
잔글
27번째 줄: 27번째 줄:
0.2% 브리모니딘을 하루 3회 점안한다.
0.2% 브리모니딘을 하루 3회 점안한다.
== 부작용 ==
== 부작용 ==
입마름, 진정작용, 졸음, 두통,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신 부작용은 고령이나 어린 나이의 환자에게 잘 나타나며, 15세 이하에서는 졸림이나 기면증이 흔히 나타나므로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혈액-뇌 장벽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경우 심각한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5세 이하의 어린이나 영유아에는 무호흡증이나 저혈압을 유발할 위험이 높으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브리모니딘은 FDA 분류 상 class B에 속하므로 임신 중에는 다른 녹내장 약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을 수 있으나 모유 수유 중에는 금해야 한다<ref>Johnson SM et al. Management of glaucoma in pregnancy and lactation. ''Surv Ophthalmol''. 2001 Mar-Apr;45(5):449-54. [https://pubmed.ncbi.nlm.nih.gov/11274697/ 연결]</ref>.
입마름, 진정작용, 졸음, 두통,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신 부작용은 고령이나 어린 나이의 환자에게 잘 나타나며, 15세 이하에서는 졸림이나 기면증이 흔히 나타나므로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혈액-뇌 장벽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경우 심각한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5세 이하의 어린이나 영유아에는 무호흡증이나 저혈압을 유발할 위험이 높으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ref>Enyedi LB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brimonidine in children with glaucoma. ''J AAPOS''. 2001 Oct;5(5):281-4. doi: 10.1067/mpa.2001.117571. [https://pubmed.ncbi.nlm.nih.gov/11641636/ 연결]</ref>. 브리모니딘은 FDA 분류 상 class B에 속하므로 임신 중에는 다른 녹내장 약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을 수 있으나 모유 수유 중에는 금해야 한다<ref>Johnson SM et al. Management of glaucoma in pregnancy and lactation. ''Surv Ophthalmol''. 2001 Mar-Apr;45(5):449-54. [https://pubmed.ncbi.nlm.nih.gov/11274697/ 연결]</ref>.
=== 안구 알레르기 ===
=== 안구 알레르기 ===
브리모니딘은 알레르기를 가장 많이 유발하는 약제로 점안 횟수와 농도에 따라 그 발생률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특히, 색소가 짙은 갈색 홍채를 갖는 한국인에서 장기간의 브리모니딘 사용 성적으로 보았을 때 0.2% 브리모니딘 + 0.5% 티몰롤 인 콤비간은 10.14%에서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반면, 0.15% 브리모니딘 단일 제제인 알파간-피 에서는 22.02% 의 알레르기가 발생하여 각각의 약제 특성으로 인해 알레르기 발생률도 큰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브리모니딘은 알레르기를 가장 많이 유발하는 약제로 점안 횟수와 농도에 따라 그 발생률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특히, 색소가 짙은 갈색 홍채를 갖는 한국인에서 장기간의 브리모니딘 사용 성적으로 보았을 때 0.2% 브리모니딘 + 0.5% 티몰롤 인 콤비간은 10.14%에서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반면, 0.15% 브리모니딘 단일 제제인 알파간-피 에서는 22.02% 의 알레르기가 발생하여 각각의 약제 특성으로 인해 알레르기 발생률도 큰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