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클로스포린: 두 판 사이의 차이

8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0월 19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점안 '''사이클로스포린 (cyclosporine)'''{{각막}}<ref>de Paiva CS et al. Topical cyclosporine A therapy for DE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9 Sep 13;9(9):CD010051. [https://pubmed.ncbi.nlm.nih.gov/31517988/ 연결]</ref> 은 [[건성안]] 치료에 특화되어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유일한 치료 약물이다.  1970년대에 ''Tolypocladium inflatum''이라는 버섯에서 발견된 약물로, 어원으로는 둥글다는 뜻의 사이클로와 버섯의 포자를 뜻하는 스포린이라는 말의 결합이며, 분자 구조상 4개의 수소 결합을 가진 원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ref>Lee SH et al. Clinical outcomes of cyclosporine treatment for noninfectious uveitis. ''Korean J Ophthalmol''. 2012 Feb;26(1):21-5. [https://pubmed.ncbi.nlm.nih.gov/22323881/ 연결]</ref>.
점안 '''사이클로스포린 (cyclosporine)'''{{각막}}<ref>de Paiva CS et al. Topical cyclosporine A therapy for DE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9 Sep 13;9(9):CD010051. [https://pubmed.ncbi.nlm.nih.gov/31517988/ 연결]</ref> 은 [[건성안]] 치료에 특화되어 2002년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T세포 억제제 계열의 면역 억제제 가운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1970년대에 ''Tolypocladium inflatum''이라는 버섯에서 발견된 약물로, 어원으로는 둥글다는 뜻의 사이클로와 버섯의 포자를 뜻하는 스포린이라는 말의 결합이며, 분자 구조상 4개의 수소 결합을 가진 원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ref>Lee SH et al. Clinical outcomes of cyclosporine treatment for noninfectious uveitis. ''Korean J Ophthalmol''. 2012 Feb;26(1):21-5. [https://pubmed.ncbi.nlm.nih.gov/22323881/ 연결]</ref>.
== 기능 ==
== 기능 ==
[[건성안]] 환자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결막 내 IL-6 수치 등) 과 결막 내 활성화된 림프구, 염증성 apototic marker를 감소시키고, 결막의 술잔 세포 수를 증가시킨다. 시클로스포린은 여러 임상 연구에서 다른 전신적, 국소적 부작용 없이 건성안의 증상과 징후를 호전시켰다. Perry 등<ref>Perry HD et al. Evaluation of topical cyclosporine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disease. ''Arch Ophthalmol''. 2008 Aug;126(8):1046-50. [https://pubmed.ncbi.nlm.nih.gov/18695097/ 연결]</ref>에 따르면 경도의 건성안에서 증상 호전이 가장 컸으며, 심한 건성안에서 징후가 가장 크게 호전되었다.
[[건성안]] 환자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결막 내 IL-6 수치 등) 과 결막 내 활성화된 림프구, 염증성 apototic marker를 감소시키고, 결막의 술잔 세포 수를 증가시킨다. 시클로스포린은 여러 임상 연구에서 다른 전신적, 국소적 부작용 없이 건성안의 증상과 징후를 호전시켰다. Perry 등<ref>Perry HD et al. Evaluation of topical cyclosporine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disease. ''Arch Ophthalmol''. 2008 Aug;126(8):1046-50. [https://pubmed.ncbi.nlm.nih.gov/18695097/ 연결]</ref>에 따르면 경도의 건성안에서 증상 호전이 가장 컸으며, 심한 건성안에서 징후가 가장 크게 호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