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채 고정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0월 14일 (월) 04:56 판 (Smile님이 홍채 고정 인공수정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홍채 고정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홍채 고정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iris-fixed phakic intraocular lens)[1]

종류

원래 무수정체 교정용으로 도입되었으며, 초기 디자인인 Binkhorst와 Medallion 렌즈에서는 낭포 황반부종, 각막 내피 부전, 렌즈 이탈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장점

좋은 결과 예측도와 안정성, 적은 백내장 발생 가능성 등의 장점이 있다. 현재 PMMA 재질의 렌즈 뿐만 아니라 실리콘-PMMA 조합의 연성 렌즈도 개발되어 절개창 크기에 따른 문제점을 줄였으며, 상당한 정도의 난시 (7.0~7.5D) 도 교정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난시 교정용 홍채 고정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국내 연구도 효과적인 결과를 보고하였다[2].

단점

수술자가 술기에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과 고정 부위의 위축 및 지속적 내피세포 손상의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참고

  1.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
  2. 정재림 등, 난시 교정용 홍채 고정 유수정체 안내렌즈의 6개월 임상 성적, JKOS 2008;49(1):48-56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