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채 고정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홍채 고정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iris-fixed phakic intraocular lens)[1]
종류
원래 무수정체 교정용으로 도입되었으며, 초기 디자인인 Binkhorst와 Medallion 렌즈에서는 낭포 황반부종, 각막 내피 부전, 렌즈 이탈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장점
홍채에 고정되므로 회선이 발생하지 않아 적절히 고정된다면 늘 같은 시력 교정 효과를 발휘하고, 항상 동일한 8.5mm 크기의 인공수정체를 사용하기에 인공수정체 크기 선정 오류가 없다.
단점
수술자가 술기에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과 고정 부위의 위축 및 지속적 내피세포 손상의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에 99%에서 나안 시력 0.5 이상율 유지했고, 80% 이상에서 목표 굴접값은 ±0.5디옵터 이내에서 유지되었다[2]. 국내에서 시행된 수술도 단기 결과가 좋았다[3][4].
합병증
- 만성 전방 염증
- 홍채 고정부의 구조 변화로 인한 렌즈 이탈
- 비대칭 고정으로 인한 동공 일그러짐
- 눈부심 및 달무리
- 색소 분산
- 백내장 : 후방 인공렌즈에 비해 정도가 약해, 1% 정도에서 발생한다고 하나[5] 10년 후에는 11.6% 까지도 발생이 보고되었다[6].
내피세포 소실
이 렌즈도 전방에 위치하므로 내피세포가 소실될 가능성이 있으며 술후 6개월간 가장 빠르게 감소하고[7], 5년 경과 시 9~14%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54니56 내피세포소실의 가장 큰 원인은 수술 중 혹은 수숨 직후의 손상으로 볼 수 있다. 10년의 장 기관찰에서는 16.6〜21.5%의 내피세포밀도 감소가 보 고되었다.'157 따라서 홍채고정유수정체인공수정체 수술 전에 추후 인공수정체 제거와 백내장수술을 견디기에 충분한 내피세포밀도가 되는지를 고려해야 한다/50 또 다른 원인은 얕은 전방과 내피세포-인공수정체가장자 리 거리이다.1S5_157h 159 인공수정체 가장자리와 내피세포 거리가 최소 1.43mm 일 때 연 1% 내피세포 감소가 예상되므로 1.5mm 이상을 확보하는 것이 안전하다.59 수술자의 경혐이 많아지고 술기가 개선된다면 더 좋은 결과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참고
- ↑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
- ↑ Doors M et al. Artiflex Toric foldable pIOL : short-term results of a prospective European multicenter study. AJO. 2012 Oct;154(4):730-739.e2. 연결
- ↑ 김현철 등, 홍채 고정용 안내렌즈의 임상 성적, 한안지 2005;46(2):353-359 연결
- ↑ 정재림 등, 난시 교정용 홍채 고정 유수정체 안내렌즈의 6개월 임상 성적, 한안지 2008;49(1):48-56 연결
- ↑ Chen LJ et al. Metaanalysis of cataract development after pIOL surgery. JCRS. 2008 Jul;34(7):1181-200. 연결
- ↑ Jonker SMR et al. Long-Term Endothelial Cell Loss in Patients w Artisan Myopia and Artisan Toric pIOLs : 5 and 10y Results. Ophthalmology. 2018 Apr;125(4):486-494. 연결
- ↑ Menezo JL et al. Endothelial study of iris-claw phakic lens : 4y FU. JCRS. 1998 Aug;24(8):1039-49.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