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모니딘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8일 (수) 13:17 판 (새 문서: 브리모니딘 (brimonidine) 은 apraclonidine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인 선택성 α2 작동제이며 apraclonidine보다 23~32배, clonidine보다 7~12배의 선택성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브리모니딘 (brimonidine) 은 apraclonidine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인 선택성 α2 작동제이며 apraclonidine보다 23~32배, clonidine보다 7~12배의 선택성을 가지며 지질 친화성 약제라는 것이 apraclonidine과 다른 점이다.

병태 생리

방수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주된 작용 기전이며 포도막-공막 유출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섬유주 유출이나 상공막 정맥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분류

  • 모니간 (Monigan) 점안액(대우제약)
  • 브리모닌 (Brimonin) 점안액 0.15% (삼천당제약)
  • 알파간 피 (Alphagan P) 점안액 0.15%(한국 앨러간)
  • 알파몬 피 (Alphamon P) 점안액 0.15% (국제약품)
  • 옵티그린 (Optigreen) 점안액 (이연제약)

효과

0.2% brimonidine의 안압 하강 효과는 약 20% 정도로 0.5% timolol, 2% dorzolamide와 유사하며 0.25% betaxolol보다는 우수하다.
α2 교감 작동제는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brimonidine도 시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시신경 손상이나 허혈을 유발한 실험적 연구에서 브리모니딘이 망막 신경절 세포의 손실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실험 모델의 연구 결과를 사람에게 발생하는 녹내장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으므로 실제 녹내장 환자에서 신경보호 작용이 있는지의 여부는 앞으로 더 많은 임상연구가 필요하다.

약물 상호 작용

다른 녹내장 약물에 추가하여 사용했을 때 apraclonidine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안압 하강 효과를 나타내며, NSAID를 함께 사용하면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적응증

0.5% apraclonidine과 마찬가지로 전안부 레이저 시술 시 나타나는 안압 상승을 방지하는 데도 사용된다.

용법

0.2% 브리모니딘을 하루 3회 점안한다.

부작용

입마름, 진정작용, 졸음, 두통,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신 부작용은 고령이나 어린 나이의 환자에게 잘 나타나며, 15세 이하에서는 졸림이 나 기면증이 흔히 나타나므로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혈액-뇌 장벽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경우 심각한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5세 이하의 어린이나 영유아에는 무호흡증이나 저혈압을 유발할 위험이 높으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