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찍질 망막병증
채찍질 망막병증 (whiplash retinopathy)[1] 은 직접적인 눈 외상 없이 머리와 목에 외상성 굴곡-신전의 병력을 갖는다. 안 둔상[2], 일광 망막병증 및 번지점프[3] 후에도 유사한 소견이 발생될 수 있다.
임상 소견
심하지는 않지만 흔들린 아이 증후군과 유사한 소견을 보인다[4]. 단안 혹은 양안에 즉각적인 경한 시력 감퇴가 나타나지만 보통 20/30보다 나쁘지 않으며, 50~100㎛ 크기의 황반 소와를 동반한 황반부의 회색 종창을 볼 수 있다. 망막 혼탁과 시력 감퇴는 일시적이지만 황반 소와와 백색 가장자리는 그대로 남는다.
- FA : 정상으로 보이거나 작은 국소적인 과형광을 보일 수 있다[5].
동반될 수 있는 다른 이상으로는 폭주 및 조절력 감퇴, 입체시의 감소, 외안근 마비, 후유리체 박리 등이 있다.
치료
치료 방법은 없다.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 ↑ Uebbing C et al. Soccer player whiplash maculopathy. Am J Emerg Med. 2010 Jan;28(1):120.e7-8. 연결
- ↑ Van Rens E. Traumatic ocular haemorrhage related to bungee jumping. BJO. 1994 Dec;78(12):948. 연결
- ↑ Kelley JS et al. Whiplash maculopathy. Arch Ophthalmol. 1978 May;96(5):834-5. 연결
- ↑ Parsons MA et al. The pathology of whiplash maculopathy and retinopathy : Illustrated observations derived from a fatal roller-coaster accident. Forensic Sci Med Pathol. 2005 Mar;1(1):19-25.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