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 유두 입체 촬영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6일 (월) 06:49 판 (새 문서: 시신경 유두 입체 촬영 (stereoscopic optic disc photography) 녹내장의 존재나 진행 여부는 시신경 유두 평가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영상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시신경 유두 입체 촬영 (stereoscopic optic disc photography)

녹내장의 존재나 진행 여부는 시신경 유두 평가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영상을 주기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녹내장성 시신경 장애의 발견은 경험의 정도와 검사자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므로 매번 검사 때마다 동시 시신경 유두 입체 사진을 진료 기록부에 남기돌고 권한다. 연속적인 검사를 비교함으로써 변화를 발견할 수 있다.

분류

  • 연속 촬영 (sequential photography) : 산동시킨 동공의 좌, 우 끝에서 평행이 되게 두 개의 사진을 찍는다. 좋은 영상을 얻기 위해 많은 훈련이 필요하다.
  • 동시 촬영 (simultaneous photography) : 두 개의 프리즘의 apex를 서로 맞대어 대물 렌즈에 장착시켜 한 번 촬영으로 stereo pair를 얻는다. 재현성이 우수하고 시신경 유두 및 유두 주위 망막의 digital 분석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현상된 stereo pair는 stereo viewer로써 정성적, 정량적 방법으로 시신경 유두 평가에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