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이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각막 이식 (keratoplasty; KP)[1]

역사

각막 이식/역사 참고

통계

미국

2016년 미국의 오바마 정부는 장기 이식 연구에 2억 달러를 투자하고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였으며, 이러한 국가적 노력의 일환으로 1961년 설립된 미국 안은행 협회 (Eye Bank Association of America, EBAA) 의 2021년도 연보에 의하면 2021년 64,048명으로부터 기증된 126,623안 중 79,641안이 자국 내에서 각막 이식으로 사용되었다[2].

우리나라

2006년 대한 안과 학회지에 보고된 논문 기준으로 2002년 5월부터 2003년 4월까지 전국 25개 병원에서 시행된 각막이식 수술 총 233건 중 전층 각막이식 (penetrating keratoplasty, PKP)이 229안(98.3%)으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고 확인할 수 있으나[3],

최근 10년간 각막이식 대기자 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기증 각막 수가 턱없이 부족하여 수입된 각막에 의존하고 있다. 국립 장기이식센터(Korea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 에 보고된 연보에 따르면 2019년도 각막이식 대기자들은 2,267명으로 2010년 1,204명 이후 점진적 증가 추세에 있으며, 이와 대비하여 국내 각막 기증자수는 2019년 163명으로 2010년 268명에 비해 39.2% 감소하였고 매년 점차적인 감소 추세를 보인다[4][5].

분류

참고

  1. 각막 4판, 2024 (한국 각막 학회, 일조각)
  2. EBAA. 2021 year in review. A community of compassion. EBAA 2022;11-4.
  3. 최시환 등, 한국 각막이식의 실태, 한안지 2006;47(4):538-547 연결
  4. KONOS. 2019년도 장기 등 이식 및 인체 조직 기증 통계 연보 [Internet]. Seoul: KONOS, 2020 [cited 2021 Dec 24]. 20, 111-26 p. 연결
  5. KONOS. 2014년도 장기 등 이식 통계 연보 [Internet]. Seoul: KONOS, 2015 [cited 2021 Jan 12]. 137 p.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