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결정 각막병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감염 결정 각막병증 (infectious crystalline keratopathy) 은 기질 염증이 미미하며 미세한 바늘 모양이 확장되어 눈송이 모양을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전층 각막 이식과 관련하여 수술 수개월 후에, 그리고 이식 후 국소 스테로이드 점안약을 장기간 사용한 후에, 염증 세포의 침윤 없이 그람 양성구균이 봉합 통로 부위의 실질 층판 사이로 전이 증식하여 회백색의 결정성 가지 모양 혼탁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외에도 표층 각막이식, 각막 이완 절개, 국소 마취제 남용, 가시아메바 감염, 상피 결손, 라식, 백내장 적출술, 추정되는 단순포진 각막염, 상측 각막렌즈 이식술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원인

가장 흔한 원인균은 α-용혈 연쇄구균, 특히 녹색 연쇄구균(Stretococcus viridans)이며, 다른 균주는 폐렴연쇄구균, 표피포도구균, Peptostreptococcus, Haemophillls aphrophillls, 녹농균, Acinetobacter, Citrobacter, Enterobacter, Stenotrophom onas 등이다. Mycobacterillm fortuitum, Candida albicans 및 다른 진균이 검출되기도 한다.

병태 생리

아직 불분명하나 실제 결정이 침착되는 것은 아니며, 봉합사를 따라 발생하는 상피 증식이나 상피 결손을 통해 세균이 직접적으로 각막 기질에 임윤하여 결절 모양으로 증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국소 스테로이드 사용 또는 세균당질층이나 균막의 침착은 이러한 과정을 촉진한다. 숙주의 면역 반응은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위험 인자

  • 이전의 각막 이식 수술 같은 눈 수술
  • 치료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 만성적으로 점안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거나 점안 마취제를 남용하는 경우

증상

병변은 무통성으로 서서히 진행한다.

임상 소견

세균의 군락이 각막의 층판 구조를 통해 성장하여 선상의 결절 모양 구조가 기질 내에서 관찰된다. 다른 세균각막염과 달리 대개 정상적인 각막 상피를 유지하며 심한 기질 염증을 동반하지 않는다.

검사 및 진단

확진은 원인균 확인이며, 25 게이지 주사침이나 각막생검을 이용하여 결정이 있는 심부 기질의 병변에서 검체를 얻어야 한다. 최근 PCR이 보조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병변이 심부에 있으면 각막 조직검사 또는 병변 부위에 표층조직판을 만들어 검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

  • 국소 항생제 : 강화된 국소 항생제를 집중적으로 점안하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가장 흔한 원인균인 녹색 연쇄구균에 대한 항생제로 국소 penicilin G, cefazolin 또는 vancomycin을 사용해야 한다. 초기 치료 이후 배양 검사, 검사실 평가 및 임상 반응에 따라 치료 약물을 변경한다.
  • 스테로이드 점안약은 도록 중단한다.

레이저 치료

  • Nd:YAG 레이저 : 최근 적극적인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는 환자에게 레이저를 이용하여 원인 균주를 둘러싸서 보호막 역할을 하는 당질층을 파괴하는 방법이 소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