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막
결막 (conjunctiva) 은 "눈꺼풀 내면과 공막 앞면을 둘러싸고 있는 얇고 투명한 점막 조직이다. 안구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며, 눈물의 수성 및 점성 성분을 생성하고, 안구 표면을 보호하는 항균 성분을 분비하는 등 면역 기능도 갖고 있다. 따라서 결막에 문제가 발생하면 안구 운동이 제한받을 수 있고 눈물 성분에 변화가 생기며 감염되기도 쉽다. 이러한 결막의 문제는 결국 각막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발생
결막은 안포의 표면 외배엽과 신경능선에서 발생하는데, 태아 8주째에 눈꺼풀의 접힘이 시작되어 태아 10주째에 눈꺼풀과 각막의 상피로부터 결막 상피가 분화되기 시작한다. 태아 12주째에는 결막 구석이 형성되며, 이와 함께 눈물샘과 덧눈물샘도 형성된다.
해부학적 구조
결막은 윤부에서 눈꺼풀의 피부-점막 경계까지 이어지며, 눈꺼풀의 내면을 덮고 있는 눈꺼풀 결막과 윤부에서 공막 앞면을 덮고 있는 안구 결막, 그리고 이 두 부위를 연결하는 결막 구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막의 상, 하, 이측의 세 방향에서 결막 구석을 형성하고 비측 방향에서는 늘어나기 쉽도록 여분의 주름을 형성하여 눈과 눈꺼풀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결막의 주름들은 표면을 늘이고 접촉면을 줄여서 안구 결막과 눈꺼풀 결막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결막 상피에는 술잔 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멜라닌 세포 등이 있으며, 실질에는 혈관과 림프관이 분포한다. 눈꺼풀의 마이봄선은 투명한 눈꺼풀 결막을 통해 쉽게 볼 수 있다. 여기서 분비된 기름 성분의 띠가 눈꺼풀의 피부-점막 경계를 나누는데, 이 경계면에서 공기와 접하는 눈꺼풀의 각질화된 편평 상피가 눈물이 닿는 결막 부위에서는 비각질화된다.
분류
조직 병리
- 결막 상피
- 결막 구석과 눈꺼풀 결막 : 위결막구석의 상피는 2~3층, 아래결막구석의 상피는 4~5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주 형태를 보이는데, 눈꺼풀테쪽으로 가면서 점차 입방형, 편평 형태의 상피로 이행되며 간격도 촘촘해진다. 눈꺼풀 결막의 표면에는 상피세포에 둘러싸인 pseudocrypts of Henle가 술잔 세포에서 분비된 점액을 함유하고 있다. 눈꺼풀테의 결막 표면 세포는 비각질화되어 있지만 눈물층에서 벗어나 공기에 노출되면 각질화된다.
- 안구 결막 : 안구 결막의 상피세포는 6~9층의 세포층이 각막 상피에 비해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세포질 내에는 당김 미세섬유가 다발을 이루며 각막에 비해 훨씬 적은 수의 부착 반점으로 연결되어 있다. 표면의 상피세포는 미세한 주름이 많고 전자현미경으로 융모 형태가 관찰되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보다 넓은 세포내 공간을 갖게 된다. 세포간의 결합도 느슨하고 상피세포가 붙어있는 바닥막도 얇고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세포나 물질이 상피세포에서 아래의 실질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물질이 외부에서 결막 표면으로 주입되면 세포내로 쉽게 침투하고, 곧 결막하의 혈관을 통해 체순환될 수 있다. 바닥막 부근의 상피에서 멜라닌 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림프구 등이 관찰되기도 한다.
- 윤부 : 윤부에서도 눈꺼풀의 피부-점막 경계처럼 변이를 볼 수 있다. 즉, 안구 결막의 중증 원주세포가 각막의 중증 편평세포로 점차 이행하며, 7~10층의 세포층을 구성하고 세포간의 연결이 견고해진다.
- 술잔 세포
- 결막 실질 : 섬유혈관성 결합 조직으로 위치에 따라 두께가 다양하다. 눈꺼풀 결막에서는 얇고 단단하게 눈꺼풀판에 붙어 있으며 아래눈꺼풀판에 비해 위눈꺼풀판에 더욱 견고하게 붙어 있다. 결막 구석에서는 더 두꺼우며 느슨하게 심부 안조직에 부착되어 있다. 윤부에서는 얇고 조밀하며, 테논낭 및 상공막 조직과 융합된다. 표면층과 심부층으로 나눌 수 있는데, 표면층은 느슨한 결합 조직으로서 출생 시에는 없지만 생후 8~12주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림프구로 이루어진 adenoid 층을 구성한다. 바이러스나 chlamydia 등의 감염에 의해 림프구가 자극되면 종자 중심이 있는 여포를 형성한다. 반면 유두는 histamine에 의한 혈관성 반응에 의해 생긴 만성적 염증 세포로서 가운데 혈관 핵심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심부층을 구성하는 섬유층에는 혈관, 림프관, 신경이 존재한다.
혈액 공급
결막 미세혈관들은 맥락막 혈관과 마찬가지로 창이 많아 투과되기 쉬워 형광 물질을 정맥 내에 주입하면 형광 염료가 창을 통해 새어 나온다. 그러나 심부에 있는 혈관은 잘 투과되지 않으며 윤부의 보그트 울타리도 마찬가지로 잘 새지 않는다. 결막의 감염이나 자극, 안와내 염증 등이 있으면 결막의 미세혈관에서 혈장 단백질이 과도하게 누출되어 결막 부종이 야기된다. 눈꺼풀 결막의 정맥은 post-tarsal vein, 전안면 정맥의 심안면 가지와 날개근 정맥 얼기로 합유된다. 안구 결막의 정맥은 상공막 정맥 얼기를 통해 공막내 얼기로 합류한다. 바람, 저온, 고온의 영향을 받거나 또는 생리나 임신 초기와 같이 호르몬의 변화가 있을 경우 정맥 얼기가 확장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