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맥락막병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급격한 혈압 상승으로 인한 악성 고혈압은 망막 색소상피와 맥락막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데, 이를 고혈압 맥락막병증 (hypertensive choroidopathy)[1] 이라고 한다.

임상 소견

맥락막 모세혈관의 폐쇄에 의해 생긴 망막 색소상피의 경색은 노란색을 띠며 FA 상 과다한 형광 물질의 누출을 보인다(acute Elschnig's spots). 이런 병변이 회복됨에 따라 폐색된 맥락막 모세혈관 위쪽 망막 색소상피는 색소 침착이 일어나고 주변 부위는 색소가 감소된 현상을 보인다. 회복된 Elschnig's spot은 더 이상 형광 물질의 누출이 없거나 저색소의 주변부를 통해 형광 물질이 비쳐 보인다.

맥락막 모세혈관의 폐쇄로 인해 망막 상피세포의 기능 부전이 발생하여 국소적이 망막 박리 또는 망막 색소상피 박리가 동반되기도 한다. 이 경우 망막 외층과 망막하 삼출물은 단백질 성분을 많이 함유한다.

Siegrist's streak은 만성 고혈압에서 띠 모양의 색소 침착이 경화된 맥락막 동맥을 따라 발생한 것을 말한다. 이것은 흔한 소견은 아니지만, 경화된 맥락막 동맥 위쪽의 망막 색소상피 세포가 과다하게 증식하고, 이 부위에 맥락막 모세혈관은 위축 소견을 보인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