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분지동맥 폐쇄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망막 분지동맥 폐쇄 (branch retinal artery occlusion; BRAO)[1]

역학

전체 망막 동맥 폐쇄의 약 1/3에서 관찰된다[2]. 일반적으로 혈관 분지 부위에서 폐쇄가 발생하며, 약 98%가 귀쪽 망막 분지동맥에서 발생한다[3]. 하지만 01는 코쪽 BRAO의 경우 무증상으로 진단되지 않아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 안저 검사상 색전은 58~62% 에서 관찰된다[3][4].

원인

망막 중심동맥 폐쇄 (CRAO) 를 일으키는 전신 질환들이 모두 기능성이 있으므로 검사는 동일하게 시행하여야 한다. 폐쇄가 동맥의 분지부위에 발생한 경우 다른 부위에서 발생한 경우보다 색전에 의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임상 소견

일반적으로 단안의 부분적 시야 결손이 발생하며, 초기 시력은 약 75%의 환자에서 0.5 이상으로 측정된다[3][5]. 안저 검사에서 폐쇄된 분지동맥의 분포에 따라 국소적인 망막 혼탁이 하얗게 나타나며, 이는 허혈성 변화가 나타난 영역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더 진하게 나타나고, 후극부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망막 혼탁은 저산소증에 의해 신경섬유층 (RNFL) 의 축삭형질 흐름이 막혀서 발생한다.

만성기에는 RNFL의 손실과 동맥혈관 세약이 관찰된다. 후안부와 홍채의 혈관신생 발생은 거의 없지만, 때때로 당뇨병 환자에서는 후안부 신생혈관이 발생하기도 한다[6]. 또한 동맥간 측부혈관 (artery to artery) 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BRAO의 질병 특유의 징후이다[7].

검사

위험인자는 CRAO와 유사하므로 검사는 동일하게 시행되어야 한다[3]. 거대세포 동맥염은 CRAO보다 훨씬 적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폐쇄가 동맥의 분지 부위에 발생한 경우 다른 부위에서 발생한 경우보다 색전에 의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예후

시력 예후는 비교적 좋으며, 80%의 환자에서 20/40 이상의 시력을 회복하지만, 주변 시야의 결손은 남는다[8]. 하지만 80% 환자에서 골드만 시야계 상 시야 결손의 호전이 보고되었다[3]. BRAO의 자연 경과를 관찰한 연구에서, 시력은 중심와 침범 여부와 망막의 비가역적 허혈 손상 정도와 상관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5].

치료

비교적 시력 예후가 양호하므로 심한 중심와 침범이 관찰되지 않는 한 적극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또한 좋은 시력 예후로 인해 치료에 의한 호전과 자연 경과는 구별이 어렵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Brown GC et al. Cilioretinal arteries and RAO. Arch Ophthalmol. 1979 Jan;97(1):84-92. 연결
  3. 3.0 3.1 3.2 3.3 3.4 Ros MA et al. BRAO : a review of 201 eyes. Ann Ophthalmol. 1989 Mar;21(3):103-7. 연결
  4. Hayreh SS, Zimmerman MB. Fundus Changes in BRAO. Retina. 2015 Oct;35(10):2060-6. 연결
  5. 5.0 5.1 Hayreh SS et al. BRAO : natural history of visual outcome. Ophthalmology. 2009 Jun;116(6):1188-94.e1-4. 연결
  6. Shah GK et al. Iris NV following BRAO. Can J Ophthalmol. 1998 Dec;33(7):389-90. 연결
  7. Sharma MC et al. Collaterals in BRAO. Ophthalmic Surg Lasers. 1999 Apr;30(4):324-5. 연결
  8. Brown GC et al. RAO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Ophthalmology. 1981 Jan;88(1):18-25.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