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우만막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보우만막 (Bowman's membrane) 은 광학 현미경에서 각막 기질 앞쪽에 세포가 없는 무정형의 막 형태 구조물로 관찰되며, 두께는 약 12㎛ 이다. 실질적인 막 구조는 아니며 아교질 섬유와 프로테오글리칸 (proteoglycan) 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다. 보우만막의 아교질 미세 섬유는 주로 1형과 3형이며 각막 기질 세포에서 합성 및 분비된다. 보우만막은 손상되면 재생되지 않는다.
생리적 기능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보우만막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각막 상피는 잘 보존되는데, 엑시머 레이저 광융해 치료 (eximer laser photoablation) 후 보우만막이 없어도 각막 상피는 다시 재생된다. 또한 많은 포유류들이 보우만막을 가지고 있지 않으나 각막 상피의 구조는 잘 유지된다. 하지만 그 기능에 대한 몇 가지 가설들이 있는데, 보우만막이 각막의 매끈하고 단단한 바닥막을 제공하여 각막 상피의 형태와 굴절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는 가설과, 각막 상피 세포와 기질 세포 사이의 접촉을 차단하여 기질의 부적절한 활성화와 세포외 기질 생성을 막는 역할을 한다는 가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