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근 근파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상사근 근파동 (superior oblique myokymia) 은 발작적으로 회선 및 수직 복시와 한 눈 진동시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병인

한쪽 활차 신경 운동 단위의 간헐적 흥분에 의해 상사근이 집중적으로 반복 수축되어 발생한다. 늘 한쪽 눈에서만 증상이 발생하므로 핵 또는 그 하부의 병변으로 생각되고, 활차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상사근의 탈신경화 및 신경 재분포가 발생 기전으로 추정된다.

임상 양상

한쪽 눈의 진동이 수 초 내지 수십 초의 불규칙한 간격으로 수 초씩 집중적으로 발생하는데, 이 때 눈은 내회선 및 하전된다. 눈운동은 때로 미세하여 검안경이나 세극등 검사를 필요로 한다. 증상이 없을 때의 눈운동은 정상이다. 환자로 하여금 상사근의 운동 방향으로 쳐다보게 할 때만 증상이 유발되는 경우도 있다. 진폭은 2~3˚ 이내이며 내회선되는 정도는 하전의 2배이다. 빈도는 하방 주시나 하방 주시에서 정면 주시로 돌아왔을 때 증가하고 어두운 곳에서 더 증가하지는 않는다.

치료

carbamazepine에 비교적 잘 반응하며, 다발성 경화증, 후두와 종양, 혈관성 신경 압박 증후군 등에 동반될 수 있으므로, 뇌촬영을 통해 구조적 이상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발작은 점차 사라지고 활차신경 마비로 이행되기도 한다.

==

참고

==
  1. [1]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