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상 유리체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성상 유리체증 (asteroid hyalosis, AH, 星狀 琉璃體症)[1] 은 정상 유리체 속에 성상체라고 부르는 다양한 크기의 반짝인는 입자가 별처럼 떠다니는 소견을 보이는 퇴행성 양성 질환이다[2].
증상
매우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3]. 그 이유는 성상체의 표면이 매우 매끄러워 빛의 산란을 적게 유발하고, 유리체강내의 성상체가 주로 앞쪽의 유리체겔 내에 존재하여 황반에 도달하는 빛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이다[4].
일반적으로 성상 유리체증이 있는 경우 후유리체 박리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5]. 그러나 수정체 유화술과 같은 백내장 수술이 급성 후유리체 박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6][7]. 후유리체 박리로 인해 성상체가 앞유리체에 농축되어 시축 주변에 성상체 농도를 높아지게 할 수 있고, 성상체가 시축으로 몰려드는 경우 시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치료
유리체 절제술이 필요한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성상 유리체증 환자에서 백내장수술 후 시력 저하가 유발된 경우, 안과적 검사에서 시력저하를 유발할만한 다른 원인이 관찰되지 않는다면, 유리체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겠다.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 ↑ Benson AH. Disease of the vitreous: a case of monocular asteroid hyalitis. Trans Ophthalmol Soc UK 1894;14:101-4.
- ↑ Mitchell P, Wang MY, Wang JJ. Asteroid hyalosis in an older population: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ic Epidemiol. 2003 Dec;10(5):331-5. 연결
- ↑ Khoshnevis M et al. Asteroid hyalosis : a comprehensive review. Surv Ophthalmol. 2019 Jul-Aug;64(4):452-462. 연결
- ↑ Mochizuki Y et al. Anatomical findings of V-R interface in eyes with asteroid hyalosi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Sep;247(9):1173-7. 연결
- ↑ Ripandelli G et al. PVD and RD after cataract surgery. Ophthalmology. 2007 Apr;114(4):692-7. 연결
- ↑ Mirshahi A et al. Incidence of PVD after cataract surgery. JCRS. 2009 Jun;35(6):987-91.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