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 안와 연조직염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세균 안와 연조직염 (microbial orbital cellulitis)[1]

역학

소아 안구 돌출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원인

  • 4세 이하의 소아 : Haemophilus 에 대한 면역이 없어서 감염이 많다. 소아는 주로 호기성 세균에 의한 단순 감염이 많다.
  • 성인 :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에 의한 감염이 많고, 혐기성 세균이 함께 복합된 감염이 많다.

감염 경로

주로 코인두나 코곁굴의 세균 감염이 전파되어 발생한다. 소아의 경우 주로 벌집굴염에서 발생하지만, 위턱굴염에서도 생길 수 있다. 어른의 경우엔 이마굴염과 벌집굴염에서 발생하며, 그 외에 만성 코곁굴염, 폴립, 아토피, 외상, 치과수술 후에 흔하다. 그 외에도 눈꺼풀 감염, 눈물주머니염, 혈행 전파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분류

  • 안와사이막앞 연조직염 : 눈꺼풀 부종과 발작 외에 특이한 소견은 없다.
  • 안와 연조직염 : 발열, 안구 돌출, 결막 부종, 안구 운동 장애, 눈움직임 동통, 동공반응 장애,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 골막하 농양 : 안구 운동 장애, 안구 위치 변화, 눈움직임 동통, 안구 돌출이 나타난다. 안와 CT에서 안와골과 골막 사이에 경계가 분명하며, 안와벽쪽으로 바닥이 넓은 모양(broad-based)을 가진 반달형의 전형적인 소견이 관찰된다.
  • 안와 농양 : 안와연조직염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안와 CT에서 국소적인 농양 형성이 관찰된다.
  • 해면 정맥굴 혈전 : 양안성으로 결막 부종, 안압 증가, 뇌신경 마비(3~6번), 정맥 울혈로 인한 유두 부종, 두통, 다양한 의식 소실 등이 나타난다. 안와 CT에서 위눈정맥과 외안근의 크기 증가, 해면정맥굴의 확장 등의 소견이 보인다.

증상

눈꺼풀 부종, 발적, 국소 발열, 압통, 안구운동 장애와 복시, 안와 통증(특히 눈을 움직일 때), 안구 돌출, 두통, 안면통 등과 결막 부종과 충혈이 일반적인 증상으로 나타나고, 진행한 경우에는 시력 저하, 색각 이상, 구심 동공운동 장애와 같은 시신경 기능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보통 발열이 동반되며, 소아에서는 고열이 동반될 수 있다. 소아는 상기도염이 흔하고, 코곁굴 입구(sinus ostia)가 상대적으로 커서 코안과 코곁굴이 하나의 구조물처럼 감염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급성 코곁굴염은 소이에서 더 흔하다. 소아는 안면통, 두통, 압통 등의 압력 싱승에 따른 전형적인 증상이 어른보다 적다.

검사 및 진단

  • 혈액 검사 : 백혈구 증가 소견이 관찰된다.
  • 세균 배양 : 결막, 코곁굴, 농양, 비인두에서 세균 배양을 실시하고, 발열과 백혈구 증가가 있는 경우에는 혈액 배양을 실시한다.
  • 척수 천자 : 양안성이거나 중추 신경계 이상이 있으면 뇌척수액의 배양과 검사를 한다.
  • CT : 염증의 정도 및 동반된 코곁굴염의 유무를 파악해야 한다. 코곁굴염이 있을 때 이에 대한 수술 여부는 이비인후과 의사와 상의

비수술적 치료

경미한 안와사이막 앞 연조직염을 제외한 모든 안와 연조직염은 입원하여 항생제 정맥 주사를 투여하여 치료한다. 가장 흔한 균주인 S. aureus, S. pneumoniae, group A streptococci, Haemophilus에 잘 듣는 항생제를 정맥 주사하고, 배양 결과에 따라서 필요하면 바꾸어 투여한다. 대부분의 정우 2, 3세대 cephalosporine계 항생제 투여에 잘 반응한다. 항생제는 임상 경과를 관찰하면서 투여하는데 적어도 7~10일 정도 필요하며 국소적 농양이 있는 경우는 수술적 배농술을 고려힌다.

수술적 치료

골막하 농양은 수술적 배농술이 원칙이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골막하로 항생제 투과가 어렵고, 골막과 안와골 사이는 혈관이 없는 공간이며, 급성 코곁굴염과 동시에 발생하고, 갑작스러운 인와 부피의 증가로 시 력 소실이 생길 수 있으며, 두개강 내 합벙증 동반이 많다. 코곁굴염은 호기성과 힘기성 세균의 복합 감염이 많아 항생제만으로는 치료가 되지 않이 수술적 배농술이 필요히다. 9세 이하의 경우에는 코곁굴염의 원인균이 호기성 세균의 단순 감염이 많아 항생제 치료에 잘 반응하는 갓으로 알려져 있어 항생제만 투여하고 경과를 관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시력 저하 또는 상대 구심 동공 반사 장애가 나타나거나, 항생제에 반응을 잘 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즉시 수술 치료를 결정하여야 한다.

예후 및 합병증

소아는 어른에 비하여 큰 합병증이 없이 잘 치료되지만, 어른은 노출각막염, 망막 중심 정맥 폐쇄, 안압 상승 등으로 인한 시력장애, 해면정맥굴 헐전, 뇌수막염, 뇌농양 등의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

참고

  1.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