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 경색 증후군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안와 경색 증후군 (orbital infarction syndrome)[1] 은 안와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들에서 혈류 장애가 발생하여 눈속 구조와 안와 구조물에 광범위한 허혈성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Borruat 등[2]은 세 명의 환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급성 시력 저하, 안통, 눈근육 마비, 전안부 및 후안부의 허혈을 보고하면서 안와 경색 증후군이라고 처음 명명하였으며, 이후 다양한 원인에 의한 사례들이 보고되었다.

역학

안허혈 증후군 (OIS) 에 비해 드물게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안와는 안동맥뿐만 아니라 외경동맥과의 수많은 문합에 의하여 혈류를 공급받기 때문이다. 즉, 안와 경색 증후군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안동맥 폐쇄와 함께 그 분지들 그리고 외경동맥과의 문합들이 동시에 폐쇄될 경우에 한해서 드물게 발생할 수 있다[2].

원인

  • 총경동맥의 폐쇄[3] 등과 같은 급성 관류 장애
  • 거대세포 동맥염과 같은 전신적인 혈관염이 안동맥 및 문합 경로에 침범하여 발생한 혈관 기능의 장애[2]
  • 모균증 (mucomycosis)의 안구 침범[2]
  • 수술, 외상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안와 구조물이 압박을 받는 경우[4]

위의 원인이 합병되어 나타나는 경우들도 있다.

임상 소견

시력 저하, 전안부 및 후안부의 허혈, 눈근육마비, 저안압, 안통, 눈꺼풀 처짐 등의 증상이 허혈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5].

치료, 예후

원인에 따라 치료는 달라질 수 있는데 혈전에 의한 경우에는 항응고제의 복용, 염증에 의한 경우는 전신적인 스테로이드를 시도해볼 수 있지만 예후는 나쁘다[6]. 시력 저하와 망막 및 시신경의 손상은 치료를 하더라도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외안근의 마비와 전안부 허혈성 변화는 허혈의 초기 단계에서 모든 증후와 증상이 나타났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측부 동맥 혈관망이 발달하며 호전되어질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2].

참고

  1.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2.0 2.1 2.2 2.3 2.4 Borruat FX et al. Orbital infarction syndrome. Ophthalmology. 1993 Apr;100(4):562-8. 연결
  3. Bogousslavsky J et al. Isolated complete orbital infarction : a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syndrome. Eur Neurol. 1991;31(2):72-6. 연결
  4. Maier P et al. Bilateral orbital infarction syndrome after bifrontal craniotomy. Arch Ophthalmol. 2007 Mar;125(3):422-3. 연결
  5. Terelak-Borys B et al. Ocular ischemic syndrome - a systematic review. Med Sci Monit. 2012 Aug;18(8):RA138-144. 연결
  6. 이동훈 등, 속목동맥 폐쇄의 치료를 위한 혈전 제거술 후 발생한 안와 경색 증후군. 한안지. 2020;61(9):1104-110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