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 골절
안와 골절 (orbital wall fracture; blow-out fracture; BOF) 단단한 안와뼈의 가장자리는 보존된 채 얇은 안와 하벽이나 내벽에 골절이 발생되는 경우를 말한다.
역학
안와 하벽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전체 얼굴뼈 골절 중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한다.
원인
얼굴과 얼굴 주위의 둔기외상에 의하여 흔히 발생히며, 상해 부위니 기전에 따라 두개강내, 흉깅내, 복강내 손상이 동반될 수 있다.
병태 생리
- hydraulic theory : 1943년 Pfeiffer가 처음 제안하였으며, 보통 안와보다 큰 물체에 의하여 외상을 입었을 때, 눈이 파열되는 대신 안와내 압력이 올라가고, 그 힘이 안와벽에 전달되어 발생한다는 이론이다.
- buckling force (bone conduction) theory : 1901년 Le Fort에 의하여 처음 제안되었으며, 안와의 가장자리에 가해진 힘에 의해 안와 아래 가장자리가 뒤틀리고, 이 힘이 안와 하벽으로 전달되어 안와뼈가 구부러지거나 뒤틀려 골절이 발생한다는 이론이다.
분류
- pure BOF : 안와 가장자리의 골절 없이 안와 내벽이나 하벽의 골절이 발생한 경우
- impure BOF : 안와 가장자리 골절을 포함한 경우
- 골절된 부위의 양상에 따라 : 선상 (linear), 들창문형 (trap-door), 경첩형 (hinged), 분쇄형 (comminuted), 복합형 (combination) - 골절된 위치에 따라 : 하벽, 내벽, 상벽, 외벽, 얼굴 중앙부 - 골절된 모양에 따라 : 안쪽 파열 골절 (blow-in) 또는 바깥 파열 골절 (blow-out), 전위성 (displaced) 또는 비전위성 (nondisplaced), 단순 (simple) 또는 분쇄 (comminuted) - 기능 상태에 따라 : 안정 (stable), 불안정 (unstable)
증상
인외파열골절의 임상 증싱은 매우 다양하여, 검사 시기, 외상의 정도, 동반 외상 여부에 띠라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부터 실명끼지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인 임상 증상은 눈운동 제한, 인구 편위, 복시, 안와아래신경 부위의 지각 감소, 안구함몰 등이며, 눈꺼풀의 부종과 출혈 얼룩, 결막밑 출혈, 코출혈, 피부밑 기종등이 흔히 동반된다.
비수술적 치료
외상 초기에 국소적인 부종을 줄이기 위하여 얼음 찜질을 한다. 또한 안와 기종의 방지를 위하여 코를 세게 풀지 않도록 하고 발살바(valsalva maneuver) 등을 하지 않도록 한다.
- 적응증 : (1) 외안근이 골절 틈에 끼어있지 않으며, 안구 운동의 제한이나 복시가 경미하거나 없는 경우, (2) 안구 함몰 또는 안구의 하방 편위가 없는 경우, (3) 안구 함몰을 일으키지 않을 작은 범위의 골절
1. 항생제 투여 : 오염된 창상인 경우, 뇌척수액 비루가 있는 경우, 부신피질호르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방적으로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2. 부신피질호르몬 : 부종의 흡수를 빠르게 하여 눈운동 회복에 도움이 되며, 수술 적응 환자를 구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금기만 아니라면 부종이 심한 경우에 prednisone 1mg/kg/day의 용량으로 10일간 경구 투여 후 감량한다.
수술적 치료
- 적응증 : (1) 복시가 있고 강제 견인검사에서 양성이며, 1~2주 내에 호전되지 않는 경우, (2) 초기에 2mm 이상의 안구 함몰이 있는 경우, (3) 안구의 하방 편위가 뚜렷한 경우, (4) 안구 함몰을 일으킬만한 큰 범위(50% 이상)의 골절이 있는 경우, (5) 주변 안와뼈 또는 얼굴뼈 골절이 동반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