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리스 증후군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증후군 (Alice in Wonderland syndrome, AIWS) 은 주로 편두통 환자의 두통에서 선행한 시각적 환영을 의미하며[1], 신체 형상이 왜곡되어 보이는 것이다.

역사

1955년 Todd가 자신의 논문에 편두통과 간질에서 발생하는, 드물지만 기이한 일련의 증상들을 소설 제목을 인용하여 명명하였다[2][3].

병인

편두통이나 간질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 비우성 내측두엽의 기능과 연관된 보고가 있었지만[3][4], 아직 이 현상의 병태생리는 명확하지 않으며 대뇌 병변과 연관된 보고는 없다. 드물게 전염성 단핵구증이나 약물 중독 환자에서도 나타난다.

일부 보고에서 정상 뇌 MRI를 가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증후군 환자의 SPECT에서 내측두엽과 시각 대뇌 피질의 관류 저하를 보고하여 이러한 임상 증상을 설명할 수 있는 근거로 제시하였다[5][6]. 또한 간질 환자에게 이러한 현상은 비우성 내측두엽의 간질의 전구 증상으로 간질 발생원을 시사하는 중요한 기호학으로까지 사용된다[4]. 결과적으로 이러한 현상은 편두통이나 간질의 전구 증상으로 보이는 내측두엽과 그 주변의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시각 정보를 받는 과정의 기능적인 문제가 있을 때 잘못 해석하거나 인식해서 나타날 수 있다고 추정된다.

임상 소견

대개 환자들은 이상하고 생생한 환영을 호소하여, 물체가 작아 보이거나 (micropsia), 크게 보이거나 (macropsia), 왜곡되어 보이거나 (변형시, metamorphopsia), 물체가 멀리 보이는 (teleopsia) 등의 증상을 표현한다. 좁은 의미로 본 환자에서 보인 현상처럼 사람의 신체에 대한 시각적인 왜곡 증상만을 정의하기도 한다.

참고

  1. 이건희 등, 소아 편두통에 동반된 앨리스 증후군 1예, Korean J Headache. 2004;5:139-142
  2. Rolak LA. Literary neurologic syndromes. Alice in Wonderland. Arch Neurol. 1991 Jun;48(6):649-51. 연결
  3. 3.0 3.1 Evans RW et al. The Alice in Wonderland Syndrome. Headache. 2004 Jun;44(6):624-5. 연결
  4. 4.0 4.1 Okada K et al. [A case of right mesial temporal lobe epilepsy accompanied with ictal polyopsia]. Rinsho Shinkeigaku. 2004 Jan;44(1):39-42. Japanese. 연결
  5. Kuo YT et al. Cerebral perfusion in children with AIWS. Pediatr Neurol. 1998 Aug;19(2):105-8. 연결
  6. Gencoglu EA et al. Brain SPECT findings in a patient with AIWS. Clin Nucl Med. 2005 Nov;30(11):758-9.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