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잎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Ginkgo biloba extract, GBE, EGb 761)[1] 은 기원전 3000년 경부터 중국에서 천식과 기관지염의 치료 약제로 사용되어온 은행잎에서 추출한 물질이다[2].
구성
60가지 이상의 구성물질이 존재하고 있으며, 상품으로 만들어진 GBE의 대부분은 약 24%의 flavone glycosides (flabonoids), 6%의 terpene lactones (ginkgolides and bilobalide), 그리고 약 7%의 proanthocyanidines, 및 기타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3].
효과
혈류 증가
피부 관류 증가, 혈액 점도 감소, 미세 혈류 증가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중 flavonoid와 terpene lactone은 말초 혈류 및 뇌혈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또한, Chung 등[5]은 11명의 정상인에 대한 GBE의 안혈류 개선 효과를 연구한 논문에서 안동맥의 확장기말 혈류 속도가 23% 증가하며, 안압, 맥박, 혈압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항염증 작용
flavonoids는 cyclooxygenase A2, lipoxygenase, phospholipase A2 와 같은 효소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작용을 나타낸다.
항산화 작용
GBE는 직접 유리기포촉제 (radical scavenger) 로 작용을 하며[6], 미토콘드리아의 산화 손상을 막아주고 역할을 하고[7][8], 신경 보호 효과[9]와 저밀도 지방단백 (LDL) 의 산화를 막아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10].
급여 기준[11]
- 인지기능 장애를 동반한 치매 (알츠하이머형, 혈관성) 에 인지기능 개선 목적으로 투여한 경우
- GBE 제제를 아세틸콜린 분해 억제제 (아리셉트, 레미닐, 엑셀론 등) 나 메만틴 제제 (에빅사 등) 와 병용 시 1종은 본인 일부 부담하고, 투약 비용이 저렴한 약제의 약값 전액은 환자가 부담함.
- 중추성 어지러움에 투여한 경우
- 간헐성 파행증
종류
제품명 | 판매사 | 코드 | 보험가 |
---|---|---|---|
기넥신F 정 80mg | SK | 644700140 | 185원/정 |
세보칸 정 80mg | 한화 | 651600400 | 185원/정 |
진맥톤 정 80mg | 한국 파마 | 653002110 | 99원/정 |
징카신 정 80mg | 대우 | 649601900 | 149원/정 |
징코미란 정 80mg | 씨엠지 | 648601450 | 116원/정 |
타나민 정 80mg | 유유 | 644501140 | 182원/정 |
파누스 에프 정 80mg | 삼진 | 647802410 | 127원/정 |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 ↑ Deng Q. Chinese medicine : The dawn, the founders, and the first pharmascopeia. Drug New Perspect 1988;1:57-8
- ↑ DeFeudis FV. Chemical composition of GBE (EGb 761). In : DeFeudis FV, ed. GBE (EGb 761):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Paris: Elsevier, 1991: chap. 2
- ↑ Költringer P et al. [Hemorheologic effects of GBE EGb 761. Dose-dependent effect of EGb 761 on microcirculation and viscoelasticity of blood]. Fortschr Med. 1993 Apr 10;111(10):170-2. German. 연결
- ↑ Chung HS et al. GBE increases ocular blood flow velocity. J Ocul Pharmacol Ther. 1999 Jun;15(3):233-40. 연결
- ↑ Stefanovits-Bányai E et al. Metal ion and antioxidant alterations in leaves btw different sexes of Ginkgo biloba L. Life Sci. 2006 Feb 2;78(10):1049-56. 연결
- ↑ Eckert A et al. Effects of EGb 761 GBE on mitochondrial function and oxidative stress. Pharmacopsychiatry. 2003 Jun;36 Suppl 1:S15-23. 연결
- ↑ Eckert A et al. Stabilization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improvement of neuronal energy metabolism by GBE EGb 761. Ann N Y Acad Sci. 2005 Nov;1056:474-85. 연결
- ↑ Hirooka K et al. The GBE (EGb 761) provides a neuroprotective effect on RGCs in a rat model of chronic glaucoma. Curr Eye Res. 2004 Mar;28(3):153-7. 연결
- ↑ Yan LJ et al. GBE (EGb 761) protects human LDL against oxidative modification mediated by copper.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5 Jul 17;212(2):360-6. 연결
- ↑ 심평원, 약제 고시 2013-127호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