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예후 및 합병증) |
잔글 (→검사)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검사 == | == 검사 == | ||
* FA : 급성기 때 초기에는 병변과 동일하게 과형광이 나타나며 후기에는 병변들과 시신경 유두부가 염색되어 나타난다. | * FA : 급성기 때 초기에는 병변과 동일하게 과형광이 나타나며 후기에는 병변들과 시신경 유두부가 염색되어 나타난다. | ||
* ICGA : 초기에는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다가 후기에는 병변 부위보다 큰 저형광의 반점들이 나타난다. 진단에는 FA보다 더 유용한데, 저형광 반점들이 안저 검사와 FA에서 관찰되는 것보다 더 많이 발견되며, 더 오랜 기간 관찰되기 때문이다. 반점들은 회복 후에는 사라진다. | * ICGA : 초기에는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다가 후기에는 병변 부위보다 큰 저형광의 반점들이 나타난다<ref>Ie D et al. ICGA in MEWDS. ''AJO''. 1994 Jan 15;117(1):7-12. [https://pubmed.ncbi.nlm.nih.gov/8291595/ 연결]</ref>. 진단에는 FA보다 더 유용한데, 저형광 반점들이 안저 검사와 FA에서 관찰되는 것보다 더 많이 발견되며<ref>Tsukamoto E et al. Hypofluorescent spots on ICGA at the recovery stage in MEWDS. ''Ophthalmologica''. 1999;213(5):336-8. [https://pubmed.ncbi.nlm.nih.gov/10516524/ 연결]</ref>, 더 오랜 기간 관찰되기 때문이다<ref>Obana A et al. ICGA aspects of MEWDS. ''Retina''. 1996;16(2):97-104. [https://pubmed.ncbi.nlm.nih.gov/8724951/ 연결]</ref>. 안저 검사와 형광 조영술에서 관찰되는 반점들은 회복 후에는 사라진다<ref>Yen MT et al. Persistent ICGA findings in MEWDS. ''Ophthalmic Surg Lasers''. 2001 Mar-Apr;32(2):156-8. [https://pubmed.ncbi.nlm.nih.gov/11300640/ 연결]</ref><ref>Obana A et al. [2 cases of MEWDS examined with ICGA]. Nippon Ganka Gakkai Zasshi. 1995 Feb;99(2):244-51. Japanese. [https://pubmed.ncbi.nlm.nih.gov/7701999/ 연결]</ref>. | ||
* OCT : 광수용체 내외분절 신호대의 소실이 관찰되며, 재발된 경우에는 바깥핵층이 얇아지기도 한다. 백색 반점이 관찰되지 않는 비정형적인 양상을 보이는 환자에서도 부분적으로 광수용체 내외분절의 소실이 관찰되므로 진단에 유용하다. RPE 위쪽으로 고반사 물질이 싸이고, 내외분절 신호대과 위 핵층까지 확장되는 것을 보여준다. | * OCT : 광수용체 내외분절 신호대의 소실이 관찰되며, 재발된 경우에는 바깥핵층이 얇아지기도 한다<ref>Sikorski BL et al. Correlation of spectral OCT with FA and ICGA in MEWDS. ''BJO''. 2008 Nov;92(11):1552-7. [https://pubmed.ncbi.nlm.nih.gov/18614567/ 연결]</ref><ref>Nguyen MH et al. Microstructural abnormalities in MEWDS demonstrated by ultrahigh resolution OCT. ''Retina''. 2007 Apr-May;27(4):414-8. [https://pubmed.ncbi.nlm.nih.gov/17420691/ 연결]</ref>. 백색 반점이 관찰되지 않는 비정형적인 양상을 보이는 환자에서도 부분적으로 광수용체 내외분절의 소실이 관찰되므로 진단에 유용하다<ref>Shelsta HN et al. Atypical presentations of MEWDS without white dots : a case series. ''Retina''. 2011 May;31(5):973-6. [https://pubmed.ncbi.nlm.nih.gov/21358458/ 연결]</ref>. RPE 위쪽으로 고반사 물질이 싸이고, 내외분절 신호대과 위 핵층까지 확장되는 것을 보여준다. | ||
* | * FAF : 활성기에는 과형광병변이 관찰되며 회복되면서 과형광이 소실되어 경과 관찰이나 재발 진단에 유용하다<ref>Furino C et al. FAF and MEWDS. ''Retina''. 2009 Jan;29(1):60-3. [https://pubmed.ncbi.nlm.nih.gov/18936716/ 연결]</ref>. 안저 검사보다 병변의 변화를 용이하게 관찰하게 하여 진단과 경과 관찰 재발 확인에 도움이 된다. | ||
* VF : 다양한 형태의 이상 소견을 보이는데 암점의 확대가 가장 흔하다. | * VF : 다양한 형태의 이상 소견을 보이는데 암점의 확대가 가장 흔하다. | ||
* ffERG : α파와 조기 시세포 전위가 감소된 것을 관찰할수 있고, 이는 광수용체 외절의 관련성을 의미한다. | * ffERG : α파와 조기 시세포 전위가 감소된 것을 관찰할수 있고, 이는 광수용체 외절의 관련성을 의미한다<ref>Sieving PA et al. MEWDS. II. Electrophysiology of the photoreceptors during RPE disease. ''Arch Ophthalmol''. 1984 May;102(5):675-9. [https://pubmed.ncbi.nlm.nih.gov/6721750/ 연결]</ref>. | ||
* 국소 ERG : 진동 소파 전위의 지연 회복이 관찰되어 일부 망막내층의 침범 가능성도 제시된다. | * 국소 ERG : 진동 소파 전위의 지연 회복이 관찰되어 일부 망막내층의 침범 가능성도 제시된다<ref>Horiguchi M et al. Focal ERG and VFD in MEWDS. ''BJO''. 1993 Jul;77(7):452-5. [https://pubmed.ncbi.nlm.nih.gov/8343478/ 연결]</ref>. | ||
* mfERG : 암점과 일치하는 국소적인 감소를 보이고 ffERG에 비해 예민도가 높으며 국소적인 망막기능을 지형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더 도움이 된다. | * mfERG : 암점과 일치하는 국소적인 감소를 보이고 ffERG에 비해 예민도가 높으며 국소적인 망막기능을 지형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더 도움이 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