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후부 다발성 판모양 색소상피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잔글 (→‎검사)
잔글 (→‎검사)
 
15번째 줄: 15번째 줄:
== 검사 ==
== 검사 ==
* FA : 특징적으로 병변 부위가 초기에는 저형광으로 나타나다가 후기에는 과형광으로 변한다<ref>Gass JD. Acute posterior multifocal placoid pigment epitheliopathy. ''Arch Ophthalmol''. 1968 Aug;80(2):177-85. [https://pubmed.ncbi.nlm.nih.gov/5661882/ 연결]</ref>. 초기 저형광은 맥락막 모세혈관 혈류 장애로 인한 충만 결손과 망막 색소상피의 부종으로 인한 차단 형광으로, 후기 과형광은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누출된 형광물질로 인한 염색으로 발생한다<ref>Ryan SJ et al. Acute posterior multifocal placoid pigment epitheliopathy. ''AJO''. 1972 Dec;74(6):1066-74. [https://pubmed.ncbi.nlm.nih.gov/4646710/ 연결]</ref>. 때로는 커다란 맥락막 혈관이나 단일 맥락막 소엽이 병변에서 관찰되기도 하며, 대부분 충만기가 연장된다. 회복기에는 망막 색소상피의 탈락과 위축으로 인해 창문 비침이 나타나고, 후기 과형광은 나타나지 않는다.
* FA : 특징적으로 병변 부위가 초기에는 저형광으로 나타나다가 후기에는 과형광으로 변한다<ref>Gass JD. Acute posterior multifocal placoid pigment epitheliopathy. ''Arch Ophthalmol''. 1968 Aug;80(2):177-85. [https://pubmed.ncbi.nlm.nih.gov/5661882/ 연결]</ref>. 초기 저형광은 맥락막 모세혈관 혈류 장애로 인한 충만 결손과 망막 색소상피의 부종으로 인한 차단 형광으로, 후기 과형광은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누출된 형광물질로 인한 염색으로 발생한다<ref>Ryan SJ et al. Acute posterior multifocal placoid pigment epitheliopathy. ''AJO''. 1972 Dec;74(6):1066-74. [https://pubmed.ncbi.nlm.nih.gov/4646710/ 연결]</ref>. 때로는 커다란 맥락막 혈관이나 단일 맥락막 소엽이 병변에서 관찰되기도 하며, 대부분 충만기가 연장된다. 회복기에는 망막 색소상피의 탈락과 위축으로 인해 창문 비침이 나타나고, 후기 과형광은 나타나지 않는다.
* ICGA : 병변들은 초기에 저형광으로 나타나고, 후기에는 모양이 더 뚜렷해진다. 이 병변들은 안저 사진에서 관찰되는 판모양의 병변도가 갯수가 많다. 병이 호전되면서 후기에 관찰되는 저형광 병변들의 크기가 작아진다. 이러한 저형광은 맥락막 모세혈관의 혈류 장애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 ICGA : 병변들은 초기에 저형광으로 나타나고, 후기에는 모양이 더 뚜렷해진다. 이 병변들은 안저 사진에서 관찰되는 판모양의 병변도가 갯수가 많다. 병이 호전되면서 후기에 관찰되는 저형광 병변들의 크기가 작아진다. 이러한 저형광은 맥락막 모세혈관의 혈류 장애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ref>Dhaliwal RS et al. APMPPE. An ICGA study. ''Retina''. 1993;13(4):317-25. [https://pubmed.ncbi.nlm.nih.gov/8115733/ 연결]</ref><ref>Schneider U et al. ICGA in a case of unilateral recurrent APMPPE. ''Acta Ophthalmol Scand''. 2003 Feb;81(1):72-5. [https://pubmed.ncbi.nlm.nih.gov/12631024/ 연결]</ref>.
* OCT : 병의 급성기에 광수용체층에서 고반사 영역이 관찰되는데, 이는 판 모양의 병변과 일치한다. 또한 외망막층의 소실도 관찰된다. 병의 후기에는 RPE의 위축이 관찰된다<ref>Scheufele TA et al. Photoreceptor atrophy in APMPPE demonstrated by OCT. ''Retina''. 2005 Dec;25(8):1109-12. [https://pubmed.ncbi.nlm.nih.gov/16340549/ 연결]</ref>.
* OCT : 병의 급성기에 광수용체층에서 고반사 영역이 관찰되는데, 이는 판 모양의 병변과 일치한다. 또한 외망막층의 소실도 관찰된다. 병의 후기에는 RPE의 위축이 관찰된다<ref>Scheufele TA et al. Photoreceptor atrophy in APMPPE demonstrated by OCT. ''Retina''. 2005 Dec;25(8):1109-12. [https://pubmed.ncbi.nlm.nih.gov/16340549/ 연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