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증상) |
잔글 (→예후 및 치료)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검사를 통해 눈꺼풀테의 위치를 확인하여 눈물 과다분비를 유발할 만한 원인이 없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속눈썹 찔림이나 눈꺼풀 위치 이상으로 인한 각막 자극, 감염결막염 등이 없는지 살펴본다. 정상적으로 눈꺼풀테에 눈물점이 존재하는지도 확인한다. [[선천 녹내장]]이 있는 경우 눈물홀림 증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감별해야 한다. | 검사를 통해 눈꺼풀테의 위치를 확인하여 눈물 과다분비를 유발할 만한 원인이 없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속눈썹 찔림이나 눈꺼풀 위치 이상으로 인한 각막 자극, 감염결막염 등이 없는지 살펴본다. 정상적으로 눈꺼풀테에 눈물점이 존재하는지도 확인한다. [[선천 녹내장]]이 있는 경우 눈물홀림 증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감별해야 한다. | ||
== | == 경과 및 치료 == | ||
83~95% 정도에서 눈물 흘림 증상이 생후 1년 전후 시기에 치료 없이 자연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기 치료로는 눈물주머니 마사지 및 국소 항생제 점안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은 환아에서 아래 등의 침습적 시술을 단계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다. | 83~95% 정도에서 눈물 흘림 증상이 생후 1년 전후 시기에 치료 없이 자연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기 치료로는 눈물주머니 마사지 및 국소 항생제 점안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은 환아에서 아래 등의 침습적 시술을 단계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다. | ||
=== 코눈물관 탐침술 === | === 코눈물관 탐침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