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 코눈물관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3 바이트 제거됨 ,  2023년 1월 22일 (일)
잔글
 
27번째 줄: 27번째 줄:
전신마취로 시행하기도 하며, 12개월 전에는 외래에서 큰 천으로 몸을 단단히 감싸 움직이지 못하게 한 후 머리를 잡고 하기도 한다. 더듬자 치료는 0 또는 00 크기의 Bowman 더듬자를 위 또는 아래 눈물점으로 삽입하는데, 이때 눈물점을 확장시키는 것이 대개 필요하다.
전신마취로 시행하기도 하며, 12개월 전에는 외래에서 큰 천으로 몸을 단단히 감싸 움직이지 못하게 한 후 머리를 잡고 하기도 한다. 더듬자 치료는 0 또는 00 크기의 Bowman 더듬자를 위 또는 아래 눈물점으로 삽입하는데, 이때 눈물점을 확장시키는 것이 대개 필요하다.


더듬자를 우선 수직으로 눈물점과 눈물소관 팽대부에 삽입한 후 90도로 꺾어 수평으로 방향을 바꾼 다음 전진시킨다. 이때 눈물소관이 꼬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눈꺼풀을 가쪽으로 당기면서 더듬자가 딱딱한 벽에 닿는 느낌이 있을 때까지 전진시키는데 이는 더듬자가 눈물주머니의 코쪽 벽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 그 다음에 더듬자를 아주 약간 뒤로 빼면서 90도로 꺾어 위로 세운 다음 약 15도 정도 뒤로 기울여 코눈물관을 따라 아래로 전진시키면 쉽게 들어간다. 이때 충분히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항이 느껴진다면 뒤로 후진하여 다른 방향으로 접근을 반복하여 저항이 적은 쪽으로 진행해야 코눈물관으로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다. 만약 성인의 힘으로 무작정 진행한다면 소아의 연약한 조직의 어느 곳이더라도 뚫고 지나가 거짓 눈물길을 만들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더듬자를 삽입할 때 코눈물관 말단의 막성 협착 부위에서 약간의 저항이 있을 수 있는데, 막을 뚫는 순간 갑자기 저항이 사라지고 쉽게 전진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더듬자를 우선 수직으로 눈물점과 눈물소관 팽대부에 삽입한 후 90˚로 꺾어 수평으로 방향을 바꾼 다음 전진시킨다. 이때 눈물소관이 꼬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눈꺼풀을 가쪽으로 당기면서 더듬자가 딱딱한 벽에 닿는 느낌이 있을 때까지 전진시키는데 이는 더듬자가 눈물주머니의 코쪽 벽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 그 다음에 더듬자를 아주 약간 뒤로 빼면서 90˚로 꺾어 위로 세운 다음 약 15˚ 정도 뒤로 기울여 코눈물관을 따라 아래로 전진시키면 쉽게 들어간다. 이때 충분히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항이 느껴진다면 뒤로 후진하여 다른 방향으로 접근을 반복하여 저항이 적은 쪽으로 진행해야 코눈물관으로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다. 만약 성인의 힘으로 무작정 진행한다면 소아의 연약한 조직의 어느 곳이더라도 뚫고 지나가 거짓 눈물길을 만들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더듬자를 삽입할 때 코눈물관 말단의 막성 협착 부위에서 약간의 저항이 있을 수 있는데, 막을 뚫는 순간 갑자기 저항이 사라지고 쉽게 전진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식염수를 눈물점 안으로 관류시켜 잘 통과되는지 확인하거나 환아가 물을 삼키는 것을 관찰하여 잘 개통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신마취의 경우 [[플루레신]]을 희석한 관류액을 주입하  
식염수를 눈물점 안으로 관류시켜 잘 통과되는지 확인하거나 환아가 물을 삼키는 것을 관찰하여 잘 개통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신마취의 경우 [[플루레신]]을 희석한 관류액을 주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