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임상 소견)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안저 검사에서 폐쇄된 분지동맥의 분포에 따라 국소적인 망막 혼탁이 하얗게 나타나며, 이는 허혈성 변화가 나타난 영역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더 진하게 나타나고, 후극부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망막 혼탁은 저산소증에 의 | 안저 검사에서 폐쇄된 분지동맥의 분포에 따라 국소적인 망막 혼탁이 하얗게 나타나며, 이는 허혈성 변화가 나타난 영역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더 진하게 나타나고, 후극부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망막 혼탁은 저산소증에 의 | ||
해 | 해 신경섬유층 (RNFL) 의 축삭형질 흐름이 막혀서 발생한다. | ||
만성기에는 RNFL의 손실과 동맥혈관 세약이 관찰된다. 후안부와 홍채의 혈관신생 발생은 거의 없지만, 때때로 당뇨병 환자에서는 후안부 신생혈관이 발생하기도 한다<ref>Shah GK et al. Iris NV following BRAO. ''Can J Ophthalmol''. 1998 Dec;33(7):389-90. [https://pubmed.ncbi.nlm.nih.gov/9885757/ 연결]</ref>. 또한 동맥간 측부혈관 (artery to artery) 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BRAO의 질병 특유의 징후이다<ref>Sharma MC et al. Collaterals in BRAO. ''Ophthalmic Surg Lasers''. 1999 Apr;30(4):324-5. [https://pubmed.ncbi.nlm.nih.gov/10219042/ 연결]</ref>. | |||
== 치료 == | == 치료 == | ||
중심소와 주위 모세관 (perifoveal capillaries) 이 침범되지 않는 한 적극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 중심소와 주위 모세관 (perifoveal capillaries) 이 침범되지 않는 한 적극적인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 및 합병증 == | ||
중심동맥 폐쇄에 비하여 증상이 심하지 않고 시력 예후도 비교적 좋아서 환자의 80% 이상에서 0.5 (20/40) 이상의 시력을 회복하지만, 주변 시야의 결손은 남는다. | 중심동맥 폐쇄에 비하여 증상이 심하지 않고 시력 예후도 비교적 좋아서 환자의 80% 이상에서 0.5 (20/40) 이상의 시력을 회복하지만, 주변 시야의 결손은 남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