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영양 각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5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3월 16일 (월)
잔글
(새 문서: 신경 영양 각막염 (neurotrophic keratitis) 은 어떤 원인에 의해 각막 상피가 더 이상 재생되지 않는 질환이다. 각막 지각 소실이 이 질환의 뚜렷...)
 
9번째 줄: 9번째 줄:
각막 지각 마비는 반사 눈물의 분비를 떨어뜨리고 눈깜빡임 횟수의 감소로 이어진다. 눈물 내 점액질이 증가하고 점도가 높아져 상피세포의 미세 융모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변화는 외부 자극에 대한 상피의 재생 능력을 현저히 떨어뜨리고 결국 궤양으로 진행하게 된다.
각막 지각 마비는 반사 눈물의 분비를 떨어뜨리고 눈깜빡임 횟수의 감소로 이어진다. 눈물 내 점액질이 증가하고 점도가 높아져 상피세포의 미세 융모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변화는 외부 자극에 대한 상피의 재생 능력을 현저히 떨어뜨리고 결국 궤양으로 진행하게 된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 Mackie 1단계 : 가장 초기의 변화로 아랫눈꺼풀 결막이 [[로즈 벵갈]]로 염색된다. 또한 눈물 내 점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span style='color:blue;'>눈물막 파괴 시간이 짧아지고 형광 물질로 염색하면 점상으로 염색</span>된다. 세극등으로 역조명 시 각막 상피가 건조되어 약간 오목해 보이는 작은 반점들이 관찰되기도 하는데, 이를 Gaule spot이라 한다. 이러한 변화들이 만성적으로 진행하면 혈관화, 기질 반흔, 상피 증식 등으로 발전하며, 드물게 정상 각막상피를 덮는 각막 전막이 관찰되기도 한다.<p>2. 2단계 : <span style='color:blue;'>상피 결손</span>이 발생하는데, 주로 윗눈꺼풀로 덮인 부위에 나타나며, 불규칙한 각막 상피가 건조해져 발생한다. 상피 결손 주변이 단단히 유착되지 않은 각막 상피 부위로 둘러싸인다. 종종 방수 흐림이나 세포도 관찰되며, 무균성 앞방 축농도 드물게 관찰된다. 이러한 증상들이 관찰되면 신속하게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p>3. 3단계 : 이러한 증상들이 지속되면 상피 세포가 혼탁해지고 부종이 생기며 보우만층과의 유착이 느슨해진다. 결손 부위의 가장자리는 말리며, 더 이상의 상피 증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피 결손 부위는 전형적으로 수평 타원형 혹은 원형을 보이게 된다. 염증, 2차 감염, 스테로이드 장기 사용 등으로 인하여 기질이 융해되어 간혹 각막 천공이 일어날 수 있다.
* Mackie 1단계 : 가장 초기의 변화로 아랫눈꺼풀 결막이 [[로즈 벵갈]]로 염색된다. 또한 눈물 내 점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span style='color:blue;'>눈물막 파괴 시간이 짧아지고 형광 물질로 염색하면 점상으로 염색</span>된다. 세극등으로 역조명 시 각막 상피가 건조되어 약간 오목해 보이는 작은 반점들이 관찰되기도 하는데, 이를 Gaule spot이라 한다. 이러한 변화들이 만성적으로 진행하면 혈관화, 기질 반흔, 상피 증식 등으로 발전하며, 드물게 정상 각막상피를 덮는 각막 전막이 관찰되기도 한다.
* 2단계 : <span style='color:blue;'>상피 결손</span>이 발생하는데, 주로 윗눈꺼풀로 덮인 부위에 나타나며, 불규칙한 각막 상피가 건조해져 발생한다. 상피 결손 주변이 단단히 유착되지 않은 각막 상피 부위로 둘러싸인다. 종종 방수 흐림이나 세포도 관찰되며, 무균성 앞방 축농도 드물게 관찰된다. 이러한 증상들이 관찰되면 신속하게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 3단계 : 이러한 증상들이 지속되면 상피 세포가 혼탁해지고 부종이 생기며 보우만층과의 유착이 느슨해진다. 결손 부위의 가장자리는 말리며, 더 이상의 상피 증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피 결손 부위는 전형적으로 수평 타원형 혹은 원형을 보이게 된다. 염증, 2차 감염, 스테로이드 장기 사용 등으로 인하여 기질이 융해되어 간혹 각막 천공이 일어날 수 있다.
 
== 조직병리 ==
== 조직병리 ==
만성적으로 각막 지각이 감소되면 표층 세포가 정상적으로 탈락하지 않고 <span style='color:blue;'>상피의 두께가 얇아진다</span>. 또한 상피세포 내의 글리코겐 농도가 낮아지고 미세 융모가 소실되어 눈물층이 유착되지 않아 각막이 건조해진다. 상피세포 부종이 일어나고 바닥판이 소실되어 상피세포가 유착되지 않는다. 결막의 변화로는 술잔세포 밀도가 감소하고 미세융모의 길이가 늘어나며, 압흔세포 검사 상 결막 술잔세포가 소실되거나 비정상적으로 각막 표면에서 관찰된다. 이러한 변화들은 안구건조증에서도 관찰되나, 더 심하게 나타난다.
만성적으로 각막 지각이 감소되면 표층 세포가 정상적으로 탈락하지 않고 <span style='color:blue;'>상피의 두께가 얇아진다</span>. 또한 상피세포 내의 글리코겐 농도가 낮아지고 미세 융모가 소실되어 눈물층이 유착되지 않아 각막이 건조해진다. 상피세포 부종이 일어나고 바닥판이 소실되어 상피세포가 유착되지 않는다. 결막의 변화로는 술잔세포 밀도가 감소하고 미세융모의 길이가 늘어나며, 압흔세포 검사 상 결막 술잔세포가 소실되거나 비정상적으로 각막 표면에서 관찰된다. 이러한 변화들은 안구건조증에서도 관찰되나, 더 심하게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