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 D : 상기 다섯 변수의 종합적 결과 | * D : 상기 다섯 변수의 종합적 결과 | ||
=== Topometric/KC-Staging === | === Topometric/KC-Staging === | ||
==== ISV (index of surface variance) ==== | |||
표면 분산 지수는 각막 반경의 평균에 대한 편차를 반영하며, 불규칙 난시의 경우 높은 ISV 값을 보인다. 간단히 말해 표면 곡률의 불규칙성을 나타낸 것이고, KC와 정상 눈을 구별하는 데 매우 민감한 매개 변수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ISV가 다른 변수 중에서 더 우수한 지표일 수 있다고 설명했고, IHD와 마찬가지로 ISV도 원추각막 전 단계를 발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도 있다. | |||
22 (0.80) | 22 (0.80) | ||
==== IVA (index of vertical asymmetry) ==== | |||
수평 비대칭 지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곡률 대칭성의 정도를 나타낸다. | |||
0.14 (0.86) | 0.14 (0.86) | ||
* KI (keratoconus index) | * KI (keratoconus index) | ||
53번째 줄: | 55번째 줄: | ||
* IHA (index of height asymmetry) | * IHA (index of height asymmetry) | ||
* IHD (index of height decentration) | * IHD (index of height decentration) | ||
=== RMin (minimum sagittal curvature) ==== | |||
구의 반경과 곡률은 반비례하므로 최소 곡률 반경은 최대 전방 곡률 지점에 해당하는 지수이다<ref>Lopes BT et al. Detection of ectatic corneal diseases based on pentacam. ''Z Med Phys''. 2016 Jun;26(2):136-42. [https://pubmed.ncbi.nlm.nih.gov/26777318/ 연결]</ref>. | |||
==== TKC (topographical keratoconus classification) ====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