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눈감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제거됨 ,  2023년 6월 27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대상포진 눈감염''' 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의 3차 신경절을 통한 재활성화를 가리킨다. == 병인 == 5번 뇌신경의...)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대상포진 눈감염''' 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의 3차 신경절을 통한 재활성화를 가리킨다.
'''대상포진 눈감염''' 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의 3차 신경절을 통한 재활성화를 가리킨다.
== 병인 ==
== 병인 ==
[[삼차 신경|5번 뇌신경]]의 첫 번째 분지인 이마신경의 코섬모체신경이 가장 흔히 침범되며, 이 신경이 분포하는 영역인 코, 결막, 공막, 각막, 홍채, 맥락막이 대표적인 병변이 생기는 부위들이다. 피부의 수포가 코끝에 발생하는 경우 허친슨 징후 (Hutchinson's sign) 라고 부르며, 잠재적인 안질환의 예측 인자로 이용된다.
[[삼차신경|5번 뇌신경]]의 첫 번째 분지인 이마신경의 코섬모체신경이 가장 흔히 침범되며, 이 신경이 분포하는 영역인 코, 결막, 공막, 각막, 홍채, 맥락막이 대표적인 병변이 생기는 부위들이다. 피부의 수포가 코끝에 발생하는 경우 허친슨 징후 (Hutchinson's sign) 라고 부르며, 잠재적인 안질환의 예측 인자로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