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피부의 수포가 코끝에 발생하는 경우 허친슨 징후 (Hutchinson's sign) 라고 부르며, 잠재적인 안질환의 예측 인자로 이용된다. 허친슨 징후는 일반적으로 예후가 불량함을 의미하는데, 이는 광범위한 안내 신경 분포를 통해 안과적 후유증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ref>Harding SP et al. Natural history of HZO : predictors of postherpetic neuralgia and ocular involvement. ''BJO''. 1987 May;71(5):353-8. [https://pubmed.ncbi.nlm.nih.gov/3495293/ 연결]</ref><ref>Liesegang TJ. HZV infection. ''Curr Opin Ophthalmol''. 2004 Dec;15(6):531-6. [https://pubmed.ncbi.nlm.nih.gov/15523199/ 연결]</ref>. | 피부의 수포가 코끝에 발생하는 경우 허친슨 징후 (Hutchinson's sign) 라고 부르며, 잠재적인 안질환의 예측 인자로 이용된다. 허친슨 징후는 일반적으로 예후가 불량함을 의미하는데, 이는 광범위한 안내 신경 분포를 통해 안과적 후유증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ref>Harding SP et al. Natural history of HZO : predictors of postherpetic neuralgia and ocular involvement. ''BJO''. 1987 May;71(5):353-8. [https://pubmed.ncbi.nlm.nih.gov/3495293/ 연결]</ref><ref>Liesegang TJ. HZV infection. ''Curr Opin Ophthalmol''. 2004 Dec;15(6):531-6. [https://pubmed.ncbi.nlm.nih.gov/15523199/ 연결]</ref>.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