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눈감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256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6월 27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16번째 줄:
=== 포도막 ===
=== 포도막 ===
포도막염은 대부분의 각막염과 동반된다. 그러나 이 러한 각막포도막염 형태의 대상포진은 가장 치료가 어렵다. HZO의 약 40%는 전부 포도막염을 동반하며, 염증은 특징적으로 심한 각막 후면 침착물, 각막 부종, 후면 유착을 통반한다.  덜 빈번하지만 각막염 없이 발생하기도 하며, 급성기를 지나고 수개월 후에 발생하기도 한다. 모든 경우에서 섬한 눈부심, 충혈, 각막 부종, 홍채의 울혈과 전방염증이 동반된다 심한 전방염증으로 전방 축농이나 울혈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통반된 안압 상승 등으로 결국 내피세포 부전에 빠지기도 한다. 대상포진 홍채염은 허혈성 폐쇄성 혈관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섬한 섬모체염증, 분절성 홍채의 왜곡이나 위축이 나타나기도 한다. 결국 저안압성 섬모체염막 (hypotony cyclitic membrane) 의 형성, 그리고 안구 위축 등도 동반될 수 있다.
포도막염은 대부분의 각막염과 동반된다. 그러나 이 러한 각막포도막염 형태의 대상포진은 가장 치료가 어렵다. HZO의 약 40%는 전부 포도막염을 동반하며, 염증은 특징적으로 심한 각막 후면 침착물, 각막 부종, 후면 유착을 통반한다.  덜 빈번하지만 각막염 없이 발생하기도 하며, 급성기를 지나고 수개월 후에 발생하기도 한다. 모든 경우에서 섬한 눈부심, 충혈, 각막 부종, 홍채의 울혈과 전방염증이 동반된다 심한 전방염증으로 전방 축농이나 울혈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통반된 안압 상승 등으로 결국 내피세포 부전에 빠지기도 한다. 대상포진 홍채염은 허혈성 폐쇄성 혈관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섬한 섬모체염증, 분절성 홍채의 왜곡이나 위축이 나타나기도 한다. 결국 저안압성 섬모체염막 (hypotony cyclitic membrane) 의 형성, 그리고 안구 위축 등도 동반될 수 있다.
== 약물 치료 ==
===경구 [[아시클로버]] (800mg, 5회/일, 7~10일) ===
<span style='color:blue;'>일반적으로 면역성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바이러스의 확산이나 질병 기간을 줄이며</span>, 통증을 경감하고, 가지모양 병변, 상공막염, 홍채염, 기질 각막염의 빈도도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가장 두려운 합병증인 시신경병증, 망막 침범, 유리체염 등을 줄이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근거가 없다.
예방적인 장기간의 경구 acyclovir 복용이 장기 이식을 받은 경우나 지연성 VZV 감염이 있는 경우에 도움이 된다고 하며, 면역 기능이 정상인 경우에도 발진이 시작된지 72시간 이내에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고 한다.
=== 주사 아시클로버 ===
<span style='color:blue;'>면역 저하 환자</span>들에게 이용된다.
* 3개월~12세의 정상 면역 환자 : 30mg/kg/하루, 8시간 간격으로 나눠서, 7~10일
* 13세 이상 정상 면역 환자 : 경구 또는 30mg/kg/하루, 8시간 간격으로 나눠서, 7~10일
* 3개월~12세의 면역 저하자 : 60mg/kg/하루, 8시간 간격으로 나눠서, 7~10일
* 13세 이상의 면역 저하자 : 30mg/kg/하루, 8시간 간격으로 나눠서, 7~10일
== 수술 치료 ==
회복되지 않는 각막의 상처, 용해 그리고 천공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한다. 덜 심한 노출 각막염은 눈꺼풀 재건술이나 보툴리눔 (보톡스) 유발 눈꺼풀 처짐을 시행할 수 있다. 눈꺼풀 봉합술은 아물지 않는 각막 표면의 상처 치료에 아직도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접합제, 테이프, 띠 (strip) 등이 보조적으로 이용된다.
각막 천공의 경우 크기가 작으면 [[치료 콘택트렌즈]]나 각막편 이식 혹은 치료 목적의 각막 이식을 생각해볼 수 있다. DALK나 전층 각막 이식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대개 대상포진 눈감염에 있어서 전층 각막 이식 등의 치료는 시력과 관계 없이 수복적 (tectonic) 으로 치료한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시력 재활을 통해 좋은 시력과 함께 각막이 잘 유지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