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각막) |
잔글 (→각막)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상공막염, 전부 공막염 또는 후부 공막염의 양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HZO의 밠애 급성기에 생기기도 하고, 피부 수포가 사라지고 수개월이 지나 발생할 수도 있다. 상공막염은 대개 초기에 발견되며, 수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공막염은 광범위한 앞쪽 부분이나 결절을 나타내나, 윤부를 침범하여 가장자리 윤부 혈관염으로 보일 수도 있다. 만성 공막염으로 진행되는 경우 공막이 앓아지거나 포도종이 형성될 수 있다. | 상공막염, 전부 공막염 또는 후부 공막염의 양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HZO의 밠애 급성기에 생기기도 하고, 피부 수포가 사라지고 수개월이 지나 발생할 수도 있다. 상공막염은 대개 초기에 발견되며, 수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공막염은 광범위한 앞쪽 부분이나 결절을 나타내나, 윤부를 침범하여 가장자리 윤부 혈관염으로 보일 수도 있다. 만성 공막염으로 진행되는 경우 공막이 앓아지거나 포도종이 형성될 수 있다. | ||
=== 각막 === | === 각막 === | ||
각막에서는 매우 다양한 병변이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각막에 나타나는 병변의 약 2/3는 급성기에 발생한다. 각막 소견은 점상 상피 각막염, 초기의 거짓가지모양 병변, 앞쪽의 기질 침윤, 공각막염, 각막포도막염/내피염, 뱀모양 궤양, 신경영양 각막염과 노출 각막염 등이다<ref>Marsh RJ. Herpes zoster keratitis.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73;93(0):181-92. [https://pubmed.ncbi.nlm.nih.gov/4546383/ 연결]</ref><ref>Marsh RJ et al. Ophthalmic herpes zoster. ''Eye (Lond)''. 1993;7 (Pt 3):350-70. [https://pubmed.ncbi.nlm.nih.gov/8224290/ 연결]</ref><ref>Cobo LM. Corneal complications of HZO. Prevention and treatment. ''Cornea''. 1988;7(1):50-6. [https://pubmed.ncbi.nlm.nih.gov/3258220/ 연결]</ref>. | 각막에서는 매우 다양한 병변이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각막에 나타나는 병변의 약 2/3는 급성기에 발생한다. 각막 소견은 점상 상피 각막염, 초기의 거짓가지모양 병변, 앞쪽의 기질 침윤, 공각막염, 각막포도막염/내피염, 뱀모양 궤양, 신경영양 각막염과 노출 각막염 등이다<ref>Marsh RJ. Herpes zoster keratitis.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73;93(0):181-92. [https://pubmed.ncbi.nlm.nih.gov/4546383/ 연결]</ref><ref>Marsh RJ et al. Ophthalmic herpes zoster. ''Eye (Lond)''. 1993;7 (Pt 3):350-70. [https://pubmed.ncbi.nlm.nih.gov/8224290/ 연결]</ref><ref name=r5>Cobo LM. Corneal complications of HZO. Prevention and treatment. ''Cornea''. 1988;7(1):50-6. [https://pubmed.ncbi.nlm.nih.gov/3258220/ 연결]</ref>. | ||
=== 포도막 === | === 포도막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