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각막) |
잔글 (→포도막)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포도막 === | === 포도막 === | ||
포도막염은 대부분의 각막염과 동반된다. 그러나 이 러한 각막포도막염 형태의 대상포진은 가장 치료가 어렵다. HZO의 약 40%는 전부 포도막염을 동반하며, 염증은 특징적으로 심한 각막 후면 침착물, 각막 부종, 후면 유착을 | 포도막염은 대부분의 각막염과 동반된다. 그러나 이 러한 각막포도막염 형태의 대상포진은 가장 치료가 어렵다. HZO의 약 40%는 전부 포도막염을 동반하며, 염증은 특징적으로 심한 각막 후면 침착물, 각막 부종, 후면 유착을 동반한다<ref>Edgerton AE. HZO : Report of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Trans Am Ophthalmol Soc''. 1942;40:390-43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315060/ 연결]</ref><ref name=r5 />. 덜 빈번하지만 각막염 없이 발생하기도 하며, 급성기를 지나고 수개월 후에 발생하기도 한다. 모든 경우에서 섬한 눈부심, 충혈, 각막 부종, 홍채의 울혈과 전방염증이 동반된다 심한 전방염증으로 전방 축농이나 울혈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통반된 안압 상승 등으로 결국 내피세포 부전에 빠지기도 한다. 대상포진 홍채염은 허혈성 폐쇄성 혈관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섬한 섬모체염증, 분절성 홍채의 왜곡이나 위축이 나타나기도 한다. 결국 저안압성 섬모체염막 (hypotony cyclitic membrane) 의 형성, 그리고 안구 위축 등도 동반될 수 있다. | ||
== 약물 치료 == | == 약물 치료 == | ||
===경구 [[아시클로버]] (800mg, 5회/일, 7~10일) === | ===경구 [[아시클로버]] (800mg, 5회/일, 7~10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