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각막상피 결손: 두 판 사이의 차이

110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7월 3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원인)
3번째 줄: 3번째 줄:
각막 상피의 전층 소실이 발생한 후, 잔여 각막 상피세포 또는 각막 윤부 줄기세포에 의하여 각막의 재상피화가 일어나지 않아 정상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없을 때 나타난다<ref>남정우 등, 난치성 지속 각막상피 결손에서 양막 추출물 점안액의 임상 효과, ''한안지'' 2021;62(10):1340-134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508 연결]</ref>.
각막 상피의 전층 소실이 발생한 후, 잔여 각막 상피세포 또는 각막 윤부 줄기세포에 의하여 각막의 재상피화가 일어나지 않아 정상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없을 때 나타난다<ref>남정우 등, 난치성 지속 각막상피 결손에서 양막 추출물 점안액의 임상 효과, ''한안지'' 2021;62(10):1340-134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508 연결]</ref>.
== 원인 ==
== 원인 ==
정상적인 창상 치유 과정이 저해되는 바닥막 이상증, 윤부 줄기세포 결핍, 외상, 약물, 감염 등 매우 다양하다.
각막 찰과상과 수술 등 각막에 발생하는 외상, [[건성안]], 노출 각막염, [[신경영양 각막염]], 감염 각막염 이후에 발생한 각막 궤양 그리고 당뇨와 같은 전신 질환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