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 내사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1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7월 11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거짓 내사시 (pseudoesotropia)''' 는 실제 내사시가 없는데도 외관상 내사시처럼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 원인 == 동양 어린이는 미간이 넓...)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진단 ==
== 진단 ==
교대가림검사 등으로 사시가 없음을 정확히 확인하고, 협조가 안되어 불확실한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다시 검사를 해야 하며, 거짓 내사시로 진단 했더라도 추후에 사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ref>노인호 등, 거짓내사시의 경력이 있는 사시 환자의 임상 양상, ''한안지'' 2006;47(9):1449-1453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242 연결]</ref><ref>Anwar DS et al. Incidence of ET developing in subjects previously diagnosed with pseudoET : a pilot study. ''Strabismus''. 2012 Sep;20(3):124-6. [https://pubmed.ncbi.nlm.nih.gov/22906383/ 연결]</ref>.
교대가림검사 등으로 사시가 없음을 정확히 확인하고, 협조가 안되어 불확실한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다시 검사를 해야 하며, 거짓 내사시로 진단 했더라도 추후에 사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ref>노인호 등, 거짓내사시의 경력이 있는 사시 환자의 임상 양상, ''한안지'' 2006;47(9):1449-1453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242 연결]</ref><ref>Anwar DS et al. Incidence of ET developing in subjects previously diagnosed with pseudoET : a pilot study. ''Strabismus''. 2012 Sep;20(3):124-6. [https://pubmed.ncbi.nlm.nih.gov/22906383/ 연결]</ref>.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