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어린이에서의 마비 == | | == 어린이에서의 마비 == |
| 외향신경 마비는 후두개와 (post. cranial fossa) 종양의 첫 임상 소견일 수 있고, 천막 위 (supra-tentorial) 종양으로 시신경 유두 부종을 동반한 외직근 마비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바이러스 질환이나 예방 접종도 원인이다. [[듀안 안구 후퇴 증후군]]이나 [[영아 내사시]]를 배제해야 한다. 어린이에서 시간이 지나면 호전되는 양성 외향신경 마비가 재발할 수 잇다. | | 외향신경 마비는 후두개와 (post. cranial fossa) 종양의 첫 임상 소견일 수 있고, 천막 위 (supra-tentorial) 종양으로 시신경 유두 부종을 동반한 외직근 마비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바이러스 질환이나 예방 접종도 원인이다. [[듀안 안구 후퇴 증후군]]이나 [[영아 내사시]]를 배제해야 한다. 어린이에서 시간이 지나면 호전되는 양성 외향신경 마비가 재발할 수 잇다. |
|
| |
| == 평가와 관찰 ==
| |
| * 단독 마비가 아닐 때는 뇌영상 검사를 해야 하며 동반된 신경학적 증상에 따라 병변 부위를 잘 판단해야 한다.
| |
| * 외상성일 때는 뇌영상 검사가 필요하다.
| |
| * 분만 외상으로 인한 마비는 매우 드물며 (0.4%) 대개 6주 안에 회복된다<ref>Galbraith RS. Incidence of neonatal 6th CNP in relation to mode of delivery. ''Am J Obstet Gynecol''. 1994 Apr;170(4):1158-9. [https://pubmed.ncbi.nlm.nih.gov/8166202/ 연결]</ref>.
| |
| * 허혈성으로 생각되는 단독 마비는 지속적 관찰이 필요하며 4~12주 안에 회복된다. 불완전 마비 때는 초기에 마비가 1주일 정도 더 진행할 수도 있으나 계속 나빠지거나 회복되지 않으면 뇌영상 검사를 해야 한다.
| |
| * 허혈성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뇌영상 검사를 해야 하며 허혈 위험 인자가 없더라도 심혈관계 이상에 대한 검사를 한다.
| |
| * 마비가 점차 심해지거나 3개월 이내에 호전이 시작되지 않거나 새로운 신경 증상이 나타나면 뇌영상 검사를 해야 한다.
| |
| 내사시가 있고 한쪽이나 양쪽 눈의 외전이 약한 환자가 모두 [[외향신경 마비]]를 가진 것은 아니므로, 우선 [[갑상샘 눈병증]] 등의 근병증과 [[중증 근무력증]] 같은 신경근육 장애와 구분하기 위해 자세한 병력 청취와 견인 검사, [[외직근]]에 대한 근력 검사를 하고, 안와 MRI와 갑상샘 기능 및 항체 검사,항아세틸콜린과 MuSK 항체에 대한 혈청 검사,반복 신경자극 검사, 단일섬유 근전도 검사 등을 시행한다.
| |
|
| |
|
| == 치료 == | | ==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