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퍼질루스 안내염: 두 판 사이의 차이

3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3월 17일 (화)
잔글
(새 문서: 아스퍼질루스 안내염 (Aspergillus endophthalmitis) Aspergillus는 진균 중 가장 흔하며 900종 이상이 존재하지만, 안내 감염으로 보고된 것은 5 종류...)
 
 
9번째 줄: 9번째 줄:
대부분 급성 혹은 아급성의 증상을 보인다. 맥락망막염은 특징적으로 황반 침범이 흔해 솜털 모양의 황백색 융기물이 후극부 안저에서 관찰도니다. 초기에 맥락막에서 병변이 시작하고 차츰 망막과 유리체로 진행하게 된다.
대부분 급성 혹은 아급성의 증상을 보인다. 맥락망막염은 특징적으로 황반 침범이 흔해 솜털 모양의 황백색 융기물이 후극부 안저에서 관찰도니다. 초기에 맥락막에서 병변이 시작하고 차츰 망막과 유리체로 진행하게 된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초진 소견 상 미만성 출혈 망막괴사를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과 감별이 필요하다.
초진 소견 상 미만성 출혈 망막괴사를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거대 세포 바이러스 망막염]]과 감별이 필요하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흔히 심내막염을 합병하므로 전신 감염증 증상이 없더라도 전신 항진균제 투여가 필요하다.
흔히 심내막염을 합병하므로 전신 감염증 증상이 없더라도 전신 항진균제 투여가 필요하다.
== 예후 및 합병증 ==
== 예후 및 합병증 ==
대부분이 급성으로 진행하고 황반 침범이 흔하여 Candida 안내염보다는 시력 예후가 나쁘다. 진균이 혈전을 만들어 뇌 혹은 심장 합병증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대부분이 급성으로 진행하고 황반 침범이 흔하여 Candida 안내염보다는 시력 예후가 나쁘다. 진균이 혈전을 만들어 뇌 혹은 심장 합병증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