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천 외향신경 마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645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7월 20일 (목)
잔글
6번째 줄: 6번째 줄:
* 염증 (9.1%)
* 염증 (9.1%)
* 외상 (9.1%)
* 외상 (9.1%)
=== 핵 병변 ===
핵 병변에서는 반대눈 내직근아핵으로 가는 핵간신경의 기능도 약화되므로 같은 쪽 주시 마비가 오는데, 운동신경이 더 손상되어 외전이 내전 마비보다 더 심하면 양쪽 눈의 마비가 비대칭으로 나타난다. 안면신경 마비가 대부분 동반되지만 없을 수도 있다<ref>Miller NR et al. Isolated acquired unilateral horizontal gaze paresis from a putative lesion of the abducens nucleus. ''J Neuroophthalmol''. 2002 Sep;22(3):204-7. [https://pubmed.ncbi.nlm.nih.gov/12352583/ 연결]</ref>. 단독 외직근 마비는 핵마비가 아니다.
핵 병변 때 같은 쪽 MLF가 같이, 또는 [[정중옆 교뇌 망상체]]와 MLF가 같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는데,이때 같은 쪽 주시마비와 함께 반대쪽 주시 때 같은 쪽 눈이 내전하지 못하는 현상을 [[1과 1/2 증후군]]이라고 하며 수평주시마비와 핵간안근 마비가 함께 나타난다<ref>Bronstein AM et al. Abnormalities of horizontal gaze. Clinical, oculographic and MRI findings. II. Gaze palsy and INO.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0 Mar;53(3):200-7. doi: 10.1136/jnnp.53.3.200. [https://pubmed.ncbi.nlm.nih.gov/2324752/ 연결]</ref>.
핵마비는 뇌간의 허혈이나 침윤,외상,염증,압박,탈수초질환으로 인해 발생한다. Wernicke-Korsakoff증후군 환자는 외향신경핵의 대사손상 때문에 동향주시마비를 일으킨다<ref>Cogan DG et al. Ocular signs of Wernicke's disease. ''AMA Arch Ophthalmol''. 1954 Feb;51(2):204-11. [https://pubmed.ncbi.nlm.nih.gov/13123606/ 연결]</ref>.
== 만성 단독 마비 ==
== 만성 단독 마비 ==
다른 징후나 증상이 없는 단독 마비는 양성의 혈관이나 염증, 압박 병변이 원인이며 압박 병변이 아니라면 대개 3개월 이내에 좋아진다. 그러나 3개월 이내에 호전이 시작되지 않거나 경과 중 다른 신경학적 징후로 삼차신경 감각신경병증이나 안면신경 불완전 마비, 난청, [[호르너 증후군]] 등이 발생하면 적절한 뇌영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외향신경 마비가 저절로 좋아지더라도 종양이 원인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다른 징후나 증상이 없는 단독 마비는 양성의 혈관이나 염증, 압박 병변이 원인이며 압박 병변이 아니라면 대개 3개월 이내에 좋아진다. 그러나 3개월 이내에 호전이 시작되지 않거나 경과 중 다른 신경학적 징후로 삼차신경 감각신경병증이나 안면신경 불완전 마비, 난청, [[호르너 증후군]] 등이 발생하면 적절한 뇌영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외향신경 마비가 저절로 좋아지더라도 종양이 원인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