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지주막하 공간 병변)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신경외과 수술 시 직접 손상을 받거나, 폐쇄 머리 손상 같은 무딘 손상 시 간접적으로 다치기도 한다<ref>Keane JR. Bilateral 6th nerve palsy. Analysis of 125 cases. ''Arch Neurol''. 1976 Oct;33(10):681-3. [https://pubmed.ncbi.nlm.nih.gov/184766/ 연결]</ref>. 수막염, 두개저종양, 신경 자체의 신경집종, 해면혈관종, 섬유모세포 종양도 원인이다<ref>Ogata S et al. Giant intracranial granular-cell tumor arising from the abducens. ''Pathol Int''. 2001 Jun;51(6):481-6. [https://pubmed.ncbi.nlm.nih.gov/11422812/ 연결]</ref>. | 신경외과 수술 시 직접 손상을 받거나, 폐쇄 머리 손상 같은 무딘 손상 시 간접적으로 다치기도 한다<ref>Keane JR. Bilateral 6th nerve palsy. Analysis of 125 cases. ''Arch Neurol''. 1976 Oct;33(10):681-3. [https://pubmed.ncbi.nlm.nih.gov/184766/ 연결]</ref>. 수막염, 두개저종양, 신경 자체의 신경집종, 해면혈관종, 섬유모세포 종양도 원인이다<ref>Ogata S et al. Giant intracranial granular-cell tumor arising from the abducens. ''Pathol Int''. 2001 Jun;51(6):481-6. [https://pubmed.ncbi.nlm.nih.gov/11422812/ 연결]</ref>. | ||
=== 추체 첨부, 경질막 바깥 부분의 병변 === | === 추체 첨부, 경질막 바깥 부분의 병변 === | ||
외향신경이 비스듬틀 위의 경막을 뚫고 나온 후 추체침대돌기 인대 (petroclinoid ligmanet) 아래를 통과할 때 유돌벌집 (mastoid air cell) 옆을 지난다. 심한 유돌염이 있는 환자에서 염증이 추체골 끝으로 번져서 경질막바깥공간의 척수막에 국소염증을 일으켜 추체첨부의 | 외향신경이 비스듬틀 위의 경막을 뚫고 나온 후 추체침대돌기 인대 (petroclinoid ligmanet) 아래를 통과할 때 유돌벌집 (mastoid air cell) 옆을 지난다. 심한 유돌염이 있는 환자에서 염증이 추체골 끝으로 번져서 경질막바깥공간의 척수막에 국소염증을 일으켜 추체첨부의 Gradenigo 증후군을 일으킨다.17 인접해 있는 외향신경에 염증이 생겨서 [[외향신경 마비]]가 생기며,Gasserian 신경절과 안면신경이 가까이 있어서 환자는 그쪽 얼굴과 눈 주위에 심한 통증을 느끼고 안면신경마비가 오기도 한다. 삼차신경의 천막가지의 자극으로 뒤통수 통증이 올 수 있는데,통증이 생긴 지 2~3일 후 외향신경마비가 나타나기도 한다. 눈부심과 눈물 흘림, 각막감각저하가 올 수 있다. 항생제가 발달한 요즈음에는 흔하지 않은 질환이다. | ||
염증 이외에 종양이나 내경동맥의 추체내 동맥류가 있을 때,가쪽굴 혈전증 (lateral sinus thrombosis) 이 아래추체 정맥굴 (inferior petrosal sinus) 로 번졌을 때 나타날 수 있다. | |||
접형구개나 익구개와 (sphenopalatine or pterygo-palatine fossa) 의 악성 종양(비인두암종)이 두개저의 구멍을 통해 경막 아래로 전이되면,외향신경마비로 인한 복시와 마비 쪽 눈물 분비 저하,삼차신경 상악분지분포의 신경병증, 안면 동통을 호소하며, 귀인두관이 막혀서 장액성 중이염이 동반되기도 한다. | |||
=== 해면정맥굴과 상안와열 병변 === | |||
단독으로 발생하거나,다른 뇌신경병증과 함께 나타난다. 해면정맥굴 안의 혈관 병변인 동맥류나 경동맥해면굴샛길,종양 등이 원인이며 양쪽 해면정맥굴 침범으로 양쪽 [[외향신경 마비]]가 올 수도 있다(그림 27-14). 허혈 위험인자인 당뇨병이나 고혈압,거대세포동맥염,염증,편두통 등도 해면정맥굴 안에서 외향신경마비를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신경도 같이 침범될 수 있다. 대개 동통을 동반한다. 같은 쪽 외향신경마비와 같은 쪽 Horner증후군 이 함께 생길 수 있는데,해면정맥굴 안에서 눈교감신경섬유on/Zosy/n/w出eh'c fiber카 외향신경과 잠시 같이 주행하기 때문이다(그림 27-15). 상안와열 병변일 때 주위의 다른 눈운동신경을 동시에 침범하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앞쪽으로 배출되는 경막경동맥해면굴샛길 dural carotid cavernous sinus fistula은 결막부종과 안구돌출,충혈을 일으킨다. 뒤쪽으로 배출되는 경동맥해면굴샛길도 외향신경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안와 징후가 없다.46 | |||
== 만성 단독 마비 == | == 만성 단독 마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