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천 외향신경 마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51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7월 22일 (토)
잔글
30번째 줄: 30번째 줄:
접형구개나 익구개와 (sphenopalatine or pterygo-palatine fossa) 의 악성 종양(비인두암종)이 두개저의 구멍을 통해 경막 아래로 전이되면,외향신경마비로 인한 복시와 마비 쪽 눈물 분비 저하,삼차신경 상악분지분포의 신경병증, 안면 동통을 호소하며, 귀인두관이 막혀서 장액성 중이염이 동반되기도 한다.
접형구개나 익구개와 (sphenopalatine or pterygo-palatine fossa) 의 악성 종양(비인두암종)이 두개저의 구멍을 통해 경막 아래로 전이되면,외향신경마비로 인한 복시와 마비 쪽 눈물 분비 저하,삼차신경 상악분지분포의 신경병증, 안면 동통을 호소하며, 귀인두관이 막혀서 장액성 중이염이 동반되기도 한다.
=== 해면정맥굴과 상안와열 병변 ===
=== 해면정맥굴과 상안와열 병변 ===
단독으로 발생하거나,다른 뇌신경병증과 함께 나타난다. 해면정맥굴 안의 혈관 병변인 동맥류나 경동맥해면굴샛길,종양 등이 원인이며 양쪽 해면정맥굴 침범으로 양쪽 [[외향신경 마비]]가 올 수도 있다(그림 27-14). 허혈 위험인자인 당뇨병이나 고혈압,거대세포동맥염,염증,편두통 등도 해면정맥굴 안에서 외향신경마비를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신경도 같이 침범될 수 있다. 대개 동통을 동반한다. 같은 쪽 외향신경마비와 같은 쪽 Horner증후군 이 함께 생길 수 있는데,해면정맥굴 안에서 눈교감신경섬유on/Zosy/n/w出eh'c fiber카 외향신경과 잠시 같이 주행하기 때문이다(그림 27-15). 상안와열 병변일 때 주위의 다른 눈운동신경을 동시에 침범하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앞쪽으로 배출되는 경막경동맥해면굴샛길 dural carotid cavernous sinus fistula은 결막부종과 안구돌출,충혈을 일으킨다. 뒤쪽으로 배출되는 경동맥해면굴샛길도 외향신경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안와 징후가 없다.46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다른 뇌신경병증과 함께 나타난다. 해면정맥굴 안의 혈관 병변인 동맥류나 [[경동맥 해면정맥동루|경동맥-해면굴 샛길]], 종양 등이 원인이며 양쪽 해면정맥굴 침범으로 양쪽 [[외향신경 마비]]가 올 수도 있다. 허혈 위험인자인 당뇨병이나 고혈압, [[거대세포 동맥염]], 염증, 편두통 등도 해면정맥굴 안에서 [[외향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신경도 같이 침범될 수 있다. 대개 동통을 동반한다.
 
같은 쪽 외향신경 마비와 같은 쪽 [[호너 증후군]]이 함께 생길 수 있는데, 해면정맥굴 안에서 눈교감신경 섬유가 외향신경과 잠시 같이 주행하기 때문이다. 상안와열 병변일 때 주위의 다른 눈운동 신경을 동시에 침범하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앞쪽으로 배출되는 경막-경동맥-해면굴 샛길 )dural carotid cavernous sinus fistula) 은 결막 부종과 안구 돌출, 충혈을 일으킨다. 뒤쪽으로 배출되는 경동맥-해면굴 샛길도 [[외향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안와 징후가 없다<ref>Kosmorsky GS et al. CCF presenting as painful ophthalmoplegia wo external ocular signs. ''Journal of Neuro-Ophthalmolo­gy'' 1988;8:131-136.</ref>.
 
=== 안와 병변 ===
=== 안와 병변 ===
안와내 주행 경로가 짧기 때문에 안와에서 [[외향신경]]이 단독으로 침범되는 일은 드물다. 치과 치료를 할 때 하치조동맥 (inf. alveolar a.) 에 상악동맥 (maxillary a.) 과 중간수막동맥을 거쳐 안동맥의 눈물샘 분지로 가거나 하안와열에 주사되면 [[외향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ref>Peñarrocha-Diago M et al. Ophthalmologic complications after intraoral local anesthesia w articain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0 Jul;90(1):21-4. [https://pubmed.ncbi.nlm.nih.gov/10884631/ 연결]</ref>. 안와에서 외전의 약화가 신경 병변인지 근육 병변인지 구별하기는 쉽지 않다. [[중증 근무력증]]도 외향신경 마비처럼 나타날 수 있어 감별이 필요하다.
안와내 주행 경로가 짧기 때문에 안와에서 [[외향신경]]이 단독으로 침범되는 일은 드물다. 치과 치료를 할 때 하치조동맥 (inf. alveolar a.) 에 상악동맥 (maxillary a.) 과 중간수막동맥을 거쳐 안동맥의 눈물샘 분지로 가거나 하안와열에 주사되면 [[외향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ref>Peñarrocha-Diago M et al. Ophthalmologic complications after intraoral local anesthesia w articain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0 Jul;90(1):21-4. [https://pubmed.ncbi.nlm.nih.gov/10884631/ 연결]</ref>. 안와에서 외전의 약화가 신경 병변인지 근육 병변인지 구별하기는 쉽지 않다. [[중증 근무력증]]도 외향신경 마비처럼 나타날 수 있어 감별이 필요하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