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천 외향신경 마비: 두 판 사이의 차이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3년 7월 22일 (토)
잔글
 
32번째 줄: 32번째 줄: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다른 뇌신경병증과 함께 나타난다. 해면정맥굴 안의 혈관 병변인 동맥류나 [[경동맥 해면정맥동루|경동맥-해면굴 샛길]], 종양 등이 원인이며 양쪽 해면정맥굴 침범으로 양쪽 [[외향신경 마비]]가 올 수도 있다. 허혈 위험인자인 당뇨병이나 고혈압, [[거대세포 동맥염]], 염증, 편두통 등도 해면정맥굴 안에서 [[외향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신경도 같이 침범될 수 있다. 대개 동통을 동반한다.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다른 뇌신경병증과 함께 나타난다. 해면정맥굴 안의 혈관 병변인 동맥류나 [[경동맥 해면정맥동루|경동맥-해면굴 샛길]], 종양 등이 원인이며 양쪽 해면정맥굴 침범으로 양쪽 [[외향신경 마비]]가 올 수도 있다. 허혈 위험인자인 당뇨병이나 고혈압, [[거대세포 동맥염]], 염증, 편두통 등도 해면정맥굴 안에서 [[외향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신경도 같이 침범될 수 있다. 대개 동통을 동반한다.


같은 쪽 외향신경 마비와 같은 쪽 [[호너 증후군]]이 함께 생길 수 있는데, 해면정맥굴 안에서 눈교감신경 섬유가 외향신경과 잠시 같이 주행하기 때문이다. 상안와열 병변일 때 주위의 다른 눈운동 신경을 동시에 침범하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앞쪽으로 배출되는 경막-경동맥-해면굴 샛길 )dural carotid cavernous sinus fistula) 은 결막 부종과 안구 돌출, 충혈을 일으킨다. 뒤쪽으로 배출되는 경동맥-해면굴 샛길도 [[외향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안와 징후가 없다<ref>Kosmorsky GS et al. CCF presenting as painful ophthalmoplegia wo external ocular signs. ''Journal of Neuro-Ophthalmolo­gy'' 1988;8:131-136.</ref>.
같은 쪽 외향신경 마비와 같은 쪽 [[호너 증후군]]이 함께 생길 수 있는데, 해면정맥굴 안에서 눈교감신경 섬유가 외향신경과 잠시 같이 주행하기 때문이다. 상안와열 병변일 때 주위의 다른 눈운동 신경을 동시에 침범하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앞쪽으로 배출되는 경막-경동맥-해면굴 샛길 (dural carotid cavernous sinus fistula) 은 결막 부종과 안구 돌출, 충혈을 일으킨다. 뒤쪽으로 배출되는 경동맥-해면굴 샛길도 [[외향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안와 징후가 없다<ref>Kosmorsky GS et al. CCF presenting as painful ophthalmoplegia wo external ocular signs. ''Journal of Neuro-Ophthalmolo­gy'' 1988;8:131-136.</ref>.


=== 안와 병변 ===
=== 안와 병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