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타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9 바이트 제거됨 ,  2023년 10월 14일 (토)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27번째 줄:
== 단점 ==
== 단점 ==
플라시도 원반 방식의 각막 곡률계에 비해 측정 시간 (약 2초) 이 더 소요되고<ref>Mejía-Barbosa Y et al. A review of methods for measuring corneal topography. ''Optom Vis Sci''. 2001 Apr;78(4):240-53. [https://pubmed.ncbi.nlm.nih.gov/11349932/ 연결]</ref><ref>Hoffmann PC et al. Prediction of residual astigmatism after cataract surgery using SS FD OCT. ''Curr Eye Res''. 2014 Dec;39(12):1178-86. [https://pubmed.ncbi.nlm.nih.gov/25310575/ 연결]</ref>, 이로 인한 자료 오차가 가장 흔한 특정 오류로 제시되고 있고, 역시 눈꺼풀에 의한 방해가 두 번째 흔한 원인으로 제시되었다<ref>Klijn S et al. Accuracy of Total Corneal Astigmatism Measurements w a Scheimpflug Imager and a Color LED Corneal Topographer. ''AJO''. 2016 Jul;167:72-8. [https://pubmed.ncbi.nlm.nih.gov/27131773/ 연결]</ref>.
플라시도 원반 방식의 각막 곡률계에 비해 측정 시간 (약 2초) 이 더 소요되고<ref>Mejía-Barbosa Y et al. A review of methods for measuring corneal topography. ''Optom Vis Sci''. 2001 Apr;78(4):240-53. [https://pubmed.ncbi.nlm.nih.gov/11349932/ 연결]</ref><ref>Hoffmann PC et al. Prediction of residual astigmatism after cataract surgery using SS FD OCT. ''Curr Eye Res''. 2014 Dec;39(12):1178-86. [https://pubmed.ncbi.nlm.nih.gov/25310575/ 연결]</ref>, 이로 인한 자료 오차가 가장 흔한 특정 오류로 제시되고 있고, 역시 눈꺼풀에 의한 방해가 두 번째 흔한 원인으로 제시되었다<ref>Klijn S et al. Accuracy of Total Corneal Astigmatism Measurements w a Scheimpflug Imager and a Color LED Corneal Topographer. ''AJO''. 2016 Jul;167:72-8. [https://pubmed.ncbi.nlm.nih.gov/27131773/ 연결]</ref>.
== 결과의 해석 ==
== 4 Maps Refractive ==
=== Sagittal (axial) power map ===
=== Sagittal (axial) power map ===
각막곡률값과 각막의 반지름(mm), 굴절값 1.3375를 이용하여 계산한 값이다.
각막곡률값과 각막의 반지름(mm), 굴절값 1.3375를 이용하여 계산한 값이다.
35번째 줄: 35번째 줄:
=== total corneal refractive power map ===
=== total corneal refractive power map ===
ray tracing 방법을 이용하며 전면 각막 굴절값 1.376과 후면 각막 굴절값 1.336, 표면의 경사, 정확한 굴절의 위치들을 이용하여 총각막 곡률값을 계산한다.  
ray tracing 방법을 이용하며 전면 각막 굴절값 1.376과 후면 각막 굴절값 1.336, 표면의 경사, 정확한 굴절의 위치들을 이용하여 총각막 곡률값을 계산한다.  
=== Belin / Ambrósio Enhanced Ectasia Display ===
== Belin / Ambrósio Enhanced Ectasia Display ==
==== pachymetric progression ====
=== pachymetric progression ===
1.6 SD 미만이면 흰색, 이상이면 노란색, 2.6 SD 이상이면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1.6 SD 미만이면 흰색, 이상이면 노란색, 2.6 SD 이상이면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 Df (front)
* Df (front)
44번째 줄: 44번째 줄:
* Da (thinnest displacement)
* Da (thinnest displacement)
* D : 상기 다섯 변수의 종합적 결과
* D : 상기 다섯 변수의 종합적 결과
=== Topometric/KC-Staging ===
== Topometric/KC-Staging ==
==== ISV (index of surface variance) ====
=== ISV (index of surface variance) ===
  이상 (노란색) : ≥ 37, 병적 이상 (빨간색) : ≥ 41
  이상 (노란색) : ≥ 37, 병적 이상 (빨간색) : ≥ 41
표면 분산 지수는 각막 반경의 평균에 대한 편차를 반영하며, 불규칙 난시의 경우 높은 ISV 값을 보인다. 간단히 말해 표면 곡률의 불규칙성을 나타낸 것이고, KC와 정상 눈을 구별하는 데 매우 민감한 매개 변수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ISV가 다른 변수 중에서 더 우수한 지표일 수 있다고 설명했고, IHD와 마찬가지로 ISV도 원추각막 전 단계를 발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도 있다.
표면 분산 지수는 각막 반경의 평균에 대한 편차를 반영하며, 불규칙 난시의 경우 높은 ISV 값을 보인다. 간단히 말해 표면 곡률의 불규칙성을 나타낸 것이고, KC와 정상 눈을 구별하는 데 매우 민감한 매개 변수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ISV가 다른 변수 중에서 더 우수한 지표일 수 있다고 설명했고, IHD와 마찬가지로 ISV도 원추각막 전 단계를 발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도 있다.
22 (0.80)
22 (0.80)


==== IVA (index of vertical asymmetry) ====
=== IVA (index of vertical asymmetry) ===
  이상 (노란색) : ≥ 0.28, 병적 이상 (빨간색) : ≥ 0.32
  이상 (노란색) : ≥ 0.28, 병적 이상 (빨간색) : ≥ 0.32
수평 비대칭 지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곡률 대칭성의 정도를 나타낸다.
수평 비대칭 지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곡률 대칭성의 정도를 나타낸다.
0.14 (0.86)
0.14 (0.86)


==== KI (keratoconus index) ====
=== KI (keratoconus index) ===
  이상 (노란색) : > 1.07, 병적 이상 (빨간색) : > 1.07
  이상 (노란색) : > 1.07, 병적 이상 (빨간색) : > 1.07


==== CKI (central keratoconus index) ====
=== CKI (central keratoconus index) ===
  이상 (노란색) : ≥ 1.03, 병적 이상 (빨간색) : ≥ 1.03
  이상 (노란색) : ≥ 1.03, 병적 이상 (빨간색) : ≥ 1.03


==== IHA (index of height asymmetry) ====
=== IHA (index of height asymmetry) ===
  이상 (노란색) : ≥ 19, 병적 이상 (빨간색) : > 21
  이상 (노란색) : ≥ 19, 병적 이상 (빨간색) : > 21


==== IHD (index of height decentration) ====
=== IHD (index of height decentration) ===
  이상 (노란색) : ≥ 0.014, 병적 이상 (빨간색) : > 0.016
  이상 (노란색) : ≥ 0.014, 병적 이상 (빨간색) : > 0.016


==== RMin (minimum sagittal curvature) ====
=== RMin (minimum sagittal curvature) ===
  이상 (노란색) : < 6.71, 병적 이상 (빨간색) : < 6.71
  이상 (노란색) : < 6.71, 병적 이상 (빨간색) : < 6.71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