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ray tracing 방법을 이용하며 전면 각막 굴절값 1.376과 후면 각막 굴절값 1.336, 표면의 경사, 정확한 굴절의 위치들을 이용하여 총각막 곡률값을 계산한다. | ray tracing 방법을 이용하며 전면 각막 굴절값 1.376과 후면 각막 굴절값 1.336, 표면의 경사, 정확한 굴절의 위치들을 이용하여 총각막 곡률값을 계산한다. | ||
== Belin / Ambrósio Enhanced Ectasia Display == | == Belin / Ambrósio Enhanced Ectasia Display == | ||
=== Corneal Thickness Spatial Profile (CTSP) === | |||
가장 얇은 지점 (thinnest point, TP) 의 각막 두께 값을 결정하고, TP를 중심으로 직경이 0.4mm 단위로 증가하는 22개의 가상 원 안에 위치한 지점들의 두께의 평균을 계산하여 생성된다. | |||
=== Percentage of Increase in Thickness (PIT) === | |||
PIT = (원 안의 평균 각막 두께 - TP의 각막 두께) / TP의 각막 두께 | |||
=== pachymetric progression === | === pachymetric progression === | ||
1.6 SD 미만이면 흰색, 이상이면 노란색, 2.6 SD 이상이면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 1.6 SD 미만이면 흰색, 이상이면 노란색, 2.6 SD 이상이면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 ||
44번째 줄: | 48번째 줄: | ||
* Da (thinnest displacement) | * Da (thinnest displacement) | ||
* D : 상기 다섯 변수의 종합적 결과 | * D : 상기 다섯 변수의 종합적 결과 | ||
== Topometric/KC-Staging == | == Topometric/KC-Staging == | ||
=== ISV (index of surface variance) === | === ISV (index of surface varianc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