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P-9: 두 판 사이의 차이

291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10월 17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9번째 줄:
|1=https://www.labticianthea.com/wp-content/uploads/2019/05/InflammaDry-Testing-Kit-Large.jpg
|1=https://www.labticianthea.com/wp-content/uploads/2019/05/InflammaDry-Testing-Kit-Large.jpg
}}
}}
최근에는 외래에서 간편히 시행하는 MMP-9 면역 분석 키트 (InflammaDry™,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Sarasota, FL, USA) 를 이용해 건성안의 진단 및 치료 방향 결정에 사용하고 있으며 관련된 이전 연구들은 이 검사가 건성안의 진단에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고 밝혔다<ref>Sambursky R et a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 point-of-care MMP-9 immunoassay for diagnosing inflammation related to dry eye. ''JAMA Ophthalmol''. 2013 Jan;131(1):24-8. [https://pubmed.ncbi.nlm.nih.gov/23307206/ 연결]</ref>.
최근에는 외래에서 간편히 시행하는 MMP-9 면역 분석 키트 (InflammaDry™,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Sarasota, FL, USA) 를 이용해 건성안의 진단 및 치료 방향 결정에 사용하고 있으며 관련된 이전 연구들은 이 검사가 건성안의 진단에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고 밝혔다<ref>Sambursky R et a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 point-of-care MMP-9 immunoassay for diagnosing inflammation related to dry eye. ''JAMA Ophthalmol''. 2013 Jan;131(1):24-8. [https://pubmed.ncbi.nlm.nih.gov/23307206/ 연결]</ref>. 김 등<ref>Kim M et al. Assessmen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5-scale grading system of the point-of-care immunoassay for tear MMP-9. ''Sci Rep''. 2021 Jun 11;11(1):12394. [https://pubmed.ncbi.nlm.nih.gov/34117341/ 연결]</ref>은 2021년 5단계의 평가 체계를 제안했다.
{{외부사진
{{외부사진
|1=https://media.springernature.com/lw685/springer-static/image/art%3A10.1038%2Fs41598-021-92020-6/MediaObjects/41598_2021_92020_Fig4_HTML.png
|1=https://media.springernature.com/lw685/springer-static/image/art%3A10.1038%2Fs41598-021-92020-6/MediaObjects/41598_2021_92020_Fig4_HTML.png
}}
}}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