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광범위 맥락막 혈관종 (diffuse choroidal melanoma) 은 스터지-웨버 증후군 환자의 40%에서 보이며 주로 소년기에 발견된다. 흔하게 얼굴의 혈...)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혈관종의 범위가 넓어서 동공은 밝은 적색 반사를 보인다. 맥락막이 오렌지-적색으로 두꺼워져 있는 것은 [[국소 맥락막 혈관종]]과 비슷하며, 범위가 넓고 두께는 얇은 것이 보통이다. 혈관종 위 망막의 낭포성 변성과 망막 색소상피의 파괴가 흔하며 혈관이 확장되어 있고 구불구불하다. 전 망막박리와 이차 [[신생 혈관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다. | 혈관종의 범위가 넓어서 동공은 밝은 적색 반사를 보인다. 맥락막이 오렌지-적색으로 두꺼워져 있는 것은 [[국소 맥락막 혈관종]]과 비슷하며, 범위가 넓고 두께는 얇은 것이 보통이다. 혈관종 위 망막의 낭포성 변성과 망막 색소상피의 파괴가 흔하며 혈관이 확장되어 있고 구불구불하다. 전 망막박리와 이차 [[신생 혈관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다. | ||
== 조직병리 == | == 조직병리 == | ||
직격이 크고 경계를 쉽게 구분할 수 없다는 것 외에 [[ | 직격이 크고 경계를 쉽게 구분할 수 없다는 것 외에 [[국소 맥락막 혈관종]]과 차이는 없다.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 초음파 : 두꺼워진 맥락막과 망막 박리를 관찰할 수 있다. A-scan에서 높은 내반사파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 * 초음파 : 두꺼워진 맥락막과 망막 박리를 관찰할 수 있다. A-scan에서 높은 내반사파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 ||
* FA : 광범위 혈과 누출이 있는 것은 [[ | * FA : 광범위 혈과 누출이 있는 것은 [[국소 맥락막 혈관종]]과 같으나 범위가 넓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범위가 넓은 만큼 치료가 쉽지 않다. 주어진 상황에 따라 단순 관찰, 약시 치료, 망막 박리 수술 등을 선택하여 시행한다. 종양의 크기를 줄이고 망막 박리를 호전시키기 위하여 방사선 치료를 고려할 만하다. | 범위가 넓은 만큼 치료가 쉽지 않다. 주어진 상황에 따라 단순 관찰, 약시 치료, 망막 박리 수술 등을 선택하여 시행한다. 종양의 크기를 줄이고 망막 박리를 호전시키기 위하여 방사선 치료를 고려할 만하다. |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
[[경동공 온열 요법]]과 [[광역학 치료]]를 시행할 수 있지만 장기간 추적 결과가 없다. | [[경동공 온열 요법]]과 [[광역학 치료]]를 시행할 수 있지만 장기간 추적 결과가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