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치료, 예후)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시력 저하, 전안부 및 후안부의 허혈, 눈근육마비, 저안압, 안통, 눈꺼풀 처짐 등의 증상이 허혈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ref>Terelak-Borys B et al. Ocular ischemic syndrome - a systematic review. ''Med Sci Monit''. 2012 Aug;18(8):RA138-144. [https://pubmed.ncbi.nlm.nih.gov/22847215/ 연결]</ref>. | 시력 저하, 전안부 및 후안부의 허혈, 눈근육마비, 저안압, 안통, 눈꺼풀 처짐 등의 증상이 허혈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ref>Terelak-Borys B et al. Ocular ischemic syndrome - a systematic review. ''Med Sci Monit''. 2012 Aug;18(8):RA138-144. [https://pubmed.ncbi.nlm.nih.gov/22847215/ 연결]</ref>. | ||
== 치료, 예후 == | == 치료, 예후 == | ||
원인에 따라 치료는 달라질 수 있는데 혈전에 의한 경우에는 항응고제의 복용, 염증에 의한 경우는 전신적인 스테로이드를 시도해볼 수 있지만 예후는 나쁘다<ref>이동훈 등, 속목동맥 폐쇄의 치료를 위한 혈전 제거술 후 발생한 안와 경색 증후군. ''한안지''. 2020;61(9):1104-110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1561 연결] | 원인에 따라 치료는 달라질 수 있는데 혈전에 의한 경우에는 항응고제의 복용, 염증에 의한 경우는 전신적인 스테로이드를 시도해볼 수 있지만 예후는 나쁘다<ref>이동훈 등, 속목동맥 폐쇄의 치료를 위한 혈전 제거술 후 발생한 안와 경색 증후군. ''한안지''. 2020;61(9):1104-110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1561 연결]</ref>. 시력 저하와 망막 및 시신경의 손상은 치료를 하더라도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외안근의 마비와 전안부 허혈성 변화는 허혈의 초기 단계에서 모든 증후와 증상이 나타났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측부 동맥 혈관망이 발달하며 호전되어질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3 | ||
</ref>. 시력 저하와 망막 및 시신경의 손상은 치료를 하더라도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외안근의 마비와 전안부 허혈성 변화는 허혈의 초기 단계에서 모든 증후와 증상이 나타났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측부 동맥 혈관망이 발달하며 호전되어질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3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