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보머: 두 판 사이의 차이

783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월 27일 (토)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카보머 (carbomer)</b> 기반의 지질 포함 인공 눈물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카보머 (carbomer)''' 수지 (-910, -934, -940, -941, -962) 는 구조적으로 polyalkenyl polyether와 가교 결합된 고분자 화합물로 폴리아크릴산의 중합체이다<ref>이종훈 등, 건성안 환자에서 카보머 점안겔이 안구 표면에 미치는 임상 효과, ''한안지'' 2024;65(1):9-1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875 연결]</ref>.
== 효과 ==
셀룰로오스 또는 히알루론산의 눈물약 성분에 비해 안구표면 체류 시간이 길며 수분을 끌어당기고 유지하는 능력이 탁월해 안구 표면의 윤활 작용과 눈물층의 질을 향상시키는 안구 윤활제의 주요한 성분으로 인정되고 있다<ref>Leibowitz HM et al. Gel tears. A new medication for the treatment of dry eyes. ''Ophthalmology''. 1984 Oct;91(10):1199-204. [https://pubmed.ncbi.nlm.nih.gov/6392979/ 연결]</ref>.
== 구성 ==
== 구성 ==
94%의 물, 0.2%의 카보머 그리고 1%의 중성 지방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각 구성 물질들은 눈물의 세 층을 대체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중성 지방은 증발을 억제하는 지질층을 보충하고, 물은 수성층의 부족을 줄여주고, 카보머는 점액에 결합하여 부착을 증가시킨다.{{br}}리포직 EDO 점안겔의 경우 방부제가 없으며, 버퍼 역할을 하는 disodium이 포함되어 있다.
94%의 물, 0.2%의 카보머 그리고 1%의 중성 지방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각 구성 물질들은 눈물의 세 층을 대체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중성 지방은 증발을 억제하는 지질층을 보충하고, 물은 수성층의 부족을 줄여주고, 카보머는 점액에 결합하여 부착을 증가시킨다.
 
리포직 EDO 점안겔의 경우 방부제가 없으며, 버퍼 역할을 하는 disodium이 포함되어 있다.
== 종류 ==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