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방법)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 안와 하벽의 가쪽 1/3 가량 되는 지점에서 안와아래 신경혈관 다발이 앞뒤 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을 확인하고 신경혈관 다발을 피하여 그 안쪽의 뼈를 뼈절단기 (osteotome) 를 이용해 구멍을 내고 Kerrison pinch와 Takahashi forceps를 이용하여 안와하벽의 골벽을 제거한다. | # 안와 하벽의 가쪽 1/3 가량 되는 지점에서 안와아래 신경혈관 다발이 앞뒤 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을 확인하고 신경혈관 다발을 피하여 그 안쪽의 뼈를 뼈절단기 (osteotome) 를 이용해 구멍을 내고 Kerrison pinch와 Takahashi forceps를 이용하여 안와하벽의 골벽을 제거한다. | ||
# 안와하벽의 골벽 결손에 연속되게 내벽의 하부도 제거하고 Takahashi forceps를 이용하여 벌집굴 제거술 (ethmoidectomy) 을 시행한다. 이때 코눈물관 입구부위 바깥쪽에 위치한 하사근의 기시부를 조심스럽게 해리 (disinsertion) 시키고 코눈물관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안와 하벽과 내벽이 만나는 곳에 경계골 (bony strut, junctional bone) 이 있는데 경계골의 앞쪽까지 다 제거하는 경우는 안구의 지지가 안 되어 아래안쪽으로 안구 편위가 생기므로 경계골의 앞쪽은 남기고 뒤쪽만 제거하여야 안구편위 없이 눈이 뒤로 들어가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마-벌집 봉합 (frontoethmoidal suture) 이 나오면 골벽 제거와 벌집굴 제거를 멈추어야 하며,만약 이곳을 넘어서 박리하면 앞, 뒤벌집 동맥 (anterior or posterior ethmoidal artery) 에 손상을 주어 출혈이 되거나 체판 (cribriform plate) 을 뚫어서 뇌척수액이 누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 # 안와하벽의 골벽 결손에 연속되게 내벽의 하부도 제거하고 Takahashi forceps를 이용하여 벌집굴 제거술 (ethmoidectomy) 을 시행한다. 이때 코눈물관 입구부위 바깥쪽에 위치한 하사근의 기시부를 조심스럽게 해리 (disinsertion) 시키고 코눈물관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안와 하벽과 내벽이 만나는 곳에 경계골 (bony strut, junctional bone) 이 있는데 경계골의 앞쪽까지 다 제거하는 경우는 안구의 지지가 안 되어 아래안쪽으로 안구 편위가 생기므로 경계골의 앞쪽은 남기고 뒤쪽만 제거하여야 안구편위 없이 눈이 뒤로 들어가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마-벌집 봉합 (frontoethmoidal suture) 이 나오면 골벽 제거와 벌집굴 제거를 멈추어야 하며,만약 이곳을 넘어서 박리하면 앞, 뒤벌집 동맥 (anterior or posterior ethmoidal artery) 에 손상을 주어 출혈이 되거나 체판 (cribriform plate) 을 뚫어서 뇌척수액이 누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 ||
# 골벽 제거가 완전히 되면 12번 Bard-Parker 칼로 안와골막에 이완절개를 뒤에서 앞으로 시행하고 골막을 일부 제거하여 안와 지방이 탈출되도록 한다. | |||
# 아래안와 가장자리의 골막과 결막을 각각 6-0 vicryl 이용하여 차례로 봉합한다. 가쪽 눈구석 인대의 아래다리는 5~0 prolene이나 5-0 nylon을 이용하여 가쪽눈구석인대가 붙는 부위의 골막에 단단히 고정시키고 가쪽 눈구석을 6-0 chromic catgut을 이용하여 형성시켜준 뒤,피부는 6-0 비흡수 봉합사를 이용해 연속 봉합한다. | |||
{{참고}} | {{참고}} |